국립국어연구원 「한자 사용실태」보고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우리나라 신문잡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한자는 어떤 것들일까.
국립국어연구원은 지난 90년 한해동안 6개의 중앙일간지와 9개의 잡지에 나타난 한자를 알아본 『한자사용 실태조사』보고서를 22일 냈다.
고유명사나 칼럼의 이름 및 광고에 쓰인 한자를 제외하고 15개 인쇄매체의 서로 다른 달 한달치씩을 조사한 결과 나타난 한자는 모두 2천5백29자였다.
이 한자들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인」으로 인간·인간성·인간문화재 등 4백40개의 사용례를 보였고 다음이 국(4백37개)·대(4백30개)·적(3백69개)·학(3백53개)·화(3백51개)·법( 3백13개)·지(2백75개)·회(2백70개)·정(2백66개)등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다른 한자와 결합되지 않고 쓰이는 단일 한자로는 「북」이 2천5백66회로 1위이며 다음은 인-당-대-국-남-군-정-야 등이 잇고 있다.
신문잡지에서 한자가 많이 쓰이는 경우는 첫째가 표제어, 즉 제목으로 본문보다 훨씬 많았다.
두번째가 준말형식으로 거여(거대여당)·공윤(공연윤리위원회)·과기원(과학기술원)·광특(광주민주화운동 진상조사 특별위원회)·교개심(교육개혁심의위원회)등이 그 예.
세번째는 가운데점(·)으로 결합된 한자어로 가·피해자, 검·경, 공·민영, 관·정가, 국·공립, 국·공유지, 근·현대, 내·외정 등이었다.
그 다음은 발음이 같고 뜻이 다른 말의 혼동을 피하고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한 경우로 가처분-가처분, 가용-가용, 강매-강매, 개폐-개폐, 고도-고도, 공논-공논, 공약-공약, 타지-타지, 패자-패자 등이다.
한편 보고서는 국어연구소가 낸 『한자외래어 사용실태조사』(1910∼1970년대)와 동 1980년대를 함께 비교한 결과도 실었다.
이에 따르면 신문잡지에 나타나는 한자수는 1910∼1970년대 3천3백31개, 80년대 2천7백58개, 그리고 지난 90년에는 2천5백29개로 한자사용이 계속 줄어들고 있으나 제목에 등장하는 한자어는 예전보다 별로 줄어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조현욱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