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들 「윗물맑기」결의/향응 안받고 경조사 화환 안보내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사정활동도 고위직 위주로
황인성내각은 11일 국무회의를 열어 장관들이 격려금을 일절 주고받지 않기로 하는 등 새로운 공직자상 확립에 국무위원들이 앞장설 것을 결의하기로 했다.
이는 정치자금을 일절 받지 않겠다는 김영삼대통령의 선언을 뒷받침하고 신한국 창조를 위한 새로운 공직사회 분위기 조성을 국무위원들이 선도한다는 취지에 따른 것이다.<관계기사 3면>
국무위원들은 또 소관업무와 관련,향응을 일절 받지 않기로 하는 한편 경조사에도 화환을 보내지 않기로 했다.
국무위원들은 밀도있는 근무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근무중에는 경조사에 참석하지 않기로 하며 현재 50여평인 장관들의 회의실·접견실을 합쳐 30여평으로 줄일 방침이다.
한 당국자는 『과거의 새로운 공직자상 확립조치는 주로 하위직 공무원들을 단속하겠다는 것 위주였으나 이번에는 국무위원들부터 솔선수범하기로 한 것이 크게 달라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국무위원들의 이같은 솔선수범의 지방에는 물론 민간부문에도 「다시 뛰자」는 분위기가 확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정부차원이 이같은 윗물맑기운동이 민간부문에도 확산되도록 유도해나갈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이같은 방침은 종래의 사정운동이 지나치게 하위직 중심으로만 이루어져 사실상 실효성이 없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한 당국자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새로운 사정활동도 가급적 고위직을 중심으로 전개해 나갈 것으로 전해졌다.
한 당국자는 이와 관련,『부정부패의 척결은 고위직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 새정부의 의지』라면서 『앞으로는 정부의 사정기관들이 4급이상 고위직을 중점 점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에 따라 국영기업체 등 그동안 사정기관의 감시대상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던 국영기업체에 대해서도 밀도있는 사정활동을 벌여나갈 방침이라고 전했다.
황 총리는 9일 국무회의에서 각 부처의 차관과 1급 공무원들까지 재산을 공개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총무처에 지시했다. 황 총리는 이날 지시에서 특히 본인의 재산은 물론 부인과 가족의 재산까지 정밀조사해 공개재산의 검증작업을 철저히 하라고 당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