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쓰레기 처리, 대기오염 개선, 맑은 물 되살리기|주민기피 소각장 건설 난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매일 3만2천여t씩 쏟아져 나오는 엄청난 쓰레기, 자동차 배기가스, 공장폐수와 매연 등으로「세계 제2의 공해」도시란 오명을 쓰고 있는 서울-.
서울시는 이 같은 오명을 벗기 위해 올해도 전체예산의 16%인 1조1천5백10억 여 원의 환경개선사업비를 확보, 쓰레기처리 및 수질개선·맑은 공기 보전을 위한 대규모 사업을 추진한다.
그러나 환경개선사업 투자대상은 전년대비 20%이상 증가한 반면 긴축예산편성으로 확보된 사업비는 5·5%줄어든 데다 쓰레기 소각장 등 혐오시설 기피현상까지 겹쳐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쓰레기=지난해 11월 앞으로 25년간 쓰레기 매립이 가능한 김포 수도권 쓰레기 매립 장(6백30만평)이 본격 가동되면서 쓰레기처리문제는 한시름 놓았다는 것이 서울시의 입장.
서울시는 그러나 지난 80년 이후 연평균 쓰레기 발생 량이 10%이상 증가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앞으로 20년 후면 김포 매립 장 또한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보고 소각장건설과 함께「쓰레기 발생 량 줄이기」「쓰레기 분리수거 정착-재활용품 활용운동」을 적극 전개하고 있다.
시는 우선 3월부터 95년7월까지 목동(4백t)과 상계동(1천6백t)두 곳에 각각 2백59억 원, 5백54억 원을 들여 양천구와 노원·중랑·동대문구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처리할 소각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그러나 소각장 건설부지 주변 주민들이 청소차 소음 및 악취·분진을 이유로 지난해부터 구 의회 및 시의회에 수 차례 반대 청원을 내고 있어 사업을 추진하는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 15년간 서울시민이 버린 쓰레기(8천8백만 입방m)가 쌓여 있는 난지 도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최소화하는 일도 서울시가 안고 있는 가장 큰 숙제다. 서울시는 이의 해결을 위해 본격적인 복토 작업 및 매립가스 포집 시설, 침출 오수 방지시설 공사 등을 계획하고 있으나 본격적 사업착수는 실시 설계가 끝나는 95년 이후에야 가능해 그 때까지 악취 및 침출 오수의 한강유입 방지는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대기오염개선=지난해 말 WHO(세계보건기구)에 의해 세계2위의 공해도시로 선정된 불명예를 벗기 위해 올해도 도시가스 보급을 늘려 아황산가스등의 발생억제에 주력한다는 방침.
시는 이를 위해 3백86억 원을 들여 경유·연탄 등을 사용하는 1백13만여 가구에 5천3백38km의 가스배관을 설치, 도시가스 보급률을 37·2%로 끌어올리고 전체가구의 42%를 차지하고 있는 연탄사용가구에 대해서도 가구 당 1백 만원의 가스 교체 비를 지원키로 했다. 그러나 경제적 사정 등으로 연탄사용 가구의 가스교체실적이 저조한데다 청정연료사용을 의무화하고 있는 보일러용량 2t이상인 대형건물의 경우도 일부에서 교체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여전히 벙커C유를 사용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함께 대기오염의 주범인 자동차 배기가스에 대한단속도 지난해 2월부터 VTR 측정방식위주로 바뀌면서 형식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맑은 물 되살리기=수질개선을 위해 올해 중 1천3백35억 원을 들여 낡고 불량한 수도관 1천5백km를 개선하고 강바닥에 쌓인 오염퇴적물질인 오니토를 제거하는 등 한강정화사업을 벌일 계획.
또 96년까지 하루 5백40만t의 하수 처리를 목표로 올해에는 안양하수처리장 용량을 2백t 늘리고 난지 84t, 중랑 50t, 탄전 25t씩을 각각 증설한다.
그러나 의정부시(8만t), 구리시 (11만t) 및 지난해 말 완공예정이었던 남양주군(1만t), 양평군(7천8백t) 등 경기도 4개 시-군에 건설중인 하수처리장 증설 및 신설공사가 예산부족 등으로 지연돼 공장용수·생활하수 등 이 중랑천·왕숙천 등을 통해 한강으로 그대로 유입되고 있어 정부차원의 종합적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정형모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