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산업을 육성하려면(사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미래사회는 흔히 정보화 사회로 불린다. 이 정보화사회에는 물질이나 에너지가 중시되던 공업사회와는 달리 정보와 지식이 핵심적인 생산요소의 기능을 담당한다.
정보화사회로의 이행에 대비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전략계획이 14일 제시됐다. 이 계획은 정보기기산업육성·정보통신망의 확충·소프트웨어 기술개발 촉진·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정보화 등의 주요 과제들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금융·세제상의 지원책을 담고 있다. 이와 함께 최각규부총리는 연간 1천억원이상의 자금지원과 정보산업발전기금 조성에 관한 계획을 아울러 밝혔다.
이만한 계획도 실천에 옮기기가 쉬운 것은 아니지만 낙후된 정보산업 분야를 2000년대까지 세계 최고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이 계획은 지속적으로 보강돼야 할 것이다.
정보산업발전을 주도해 나갈 인적 자원의 확충방안으로 초·중등교육과정에 컴퓨터전담교사를 두고 정보과학 고등학교를 신설토록 하라는 노태우대통령의 지시는 특히 우리의 주목을 끄는 대목이다. 정보산업의 시각에서 보면 매우 바람직한 이 방안은 그러나 교육제도면에서 과연 타당한 것인가를 면밀히 검토한 다음에 실행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정보산업을 육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우리가 전략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제조업 경쟁력강화와 정보산업 육성의 두가지 효과가 최대한의 상승작용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일이다. 이런 관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제조업의 정보화를 촉진시키는 노력이다. 제조업분야에서 정보산업의 지원을 받아 공정의 자동화,사무의 자동화,그리고 경영관리의 혁신을 추진하면 정보산업의 시장확대와 제조업경쟁력 강화라는 두개의 목표를 한꺼번에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번 계획이 한낱 청사진으로 머물 것이 아니라 정보산업 발전의 실질적인 견인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를 바라면서 이에 필요한 정부의 후속조치들과 민간기업들의 협력이 활발하게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