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자회 파문 빨리 수습하라(사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육사출신의 군내 사조직인 「알자회」파문을 조기 수습키 위해 군당국은 좀더 분명하고 납득할만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이런 조치가 군지휘부에 의해 선도적으로 취해지지 않으면 그로 인한 반작용이 일어나 일사불란해야 할 군의 명령체계와 기강에 적지 않은 손상을 줄까 걱정스럽다.
일요일인 15일 육사에서 있었던 두가지 행사는 이미 그런 국민적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날 육사37기(소령급) 1백60여명과 40기(대위급) 1백80여명은 알자회사건과 관련하여 모교에서 동기생 긴급총회를 가졌다. 37기생들은 알자회소속 동기생들에 대한 제명결의까지는 가지 않았으나 이들에 대한 지휘부의 조치를 지켜보고 그 결과에 따라 다음 행동을 논의키로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젊고 혈기방장한 40기생들은 알자회소속 동기생 12명을 동기회에서 제명키로 하는 등 5개항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알자회는 그 자체가 군의 단결과 인화를 저해하고 나아가 승진과 보직 등 인사질서를 어지럽힐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휘관의 명령에 대한 불복이라는 점에서 빨리 없어져야 할 조직이다. 이런 사조직에 일부 동기생들이 가입하여 불공정한 특혜를 도모하는 것은 소외된 다른 동기들의 입장에서는 개인적인 감정으로나 군을 아끼고 유지·발전시키기 위한 대의에서나 용납키 어려울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알자회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동기회가 총회를 갖고 그 장소를 모교로 정한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국민들은 이 문제가 밑으로부터의 단체행동이 아닌 군지휘부의 조용하고도 신속한 조치에 의해 해결되기를 바라고 있다. 더구나 대부분이 현역 중견장교들인 육사의 각 동기회가 잇단 임시총회를 열고 그 때문에 전후방의 장교들이 서울에 모여 결의를 하는 등의 집단행위는 국민들의 불안감을 자극하기에 족하다.
군당국은 알자회소속으로 인사상 혜택을 본 장교들을 일선으로 전보하고 있고 계속 후속조치를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기의 각 동기회는 상부의 조치를 주시하면서 이 문제가 파문을 덜 일으키고 조용히 해결되도록 가급적 자제하는 태도를 보이는게 좋겠다. 물론 알자회 회원의 동기생회 제명은 각 동기생회에서 알아서 처리할 문제다.
벌써 이 문제와 관련된 세차례의 동기회 집단행동은 수뇌부의 조치가 미온적이라는 인식에서 나왔다는 인상이 짙다. 그것은 각 모임에서 많은 장교들이 수뇌부에 대해 단순한 전보인사에 그치지 말고 징계나 전역조치 등 보다 강경한 처리를 건의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육군지휘부는 일반적으로 납득될 수 있는 단호한 조치를 빨리 취하고 분노하는 장교들을 설득해 알자회파문이 더이상 국민들에게 불안감을 주지 않고 수습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