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내신 1~2등급 만점 처리 땐 불이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15일 오전 9시30분 서울 세종로 정부 중앙청사 9층 총리 집무실에서는 한덕수 총리 주재로 대입 관련 6개 부처 장관 긴급회의가 열렸다. 노무현 대통령이 전날 "최근 일부 대학이 검토 중인 '내신(학생부) 무력화'는 고교등급제로 가는 길"이라며 "범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하라"고 한 총리에게 지시해 만들어진 자리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총리는"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내신 비중을 높이라는 정부 방침과 달리 반영 비율을 축소하려는 대학들이 있다"며 "그런 대학에는 범정부 차원에서 재정 불이익을 주고 강력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회의에는 올해 23개 대학 연구 주요 사업에 1조5875억원을 지원하는 교육부.과기부.복지부.산자부.농림부.정통부 장관(일부 차관)이 참석했다. 국무조정실 관계자는 "노 대통령이 강조해 온 평준화와 3불정책(본고사.고교등급제.기여입학제 금지)을 지키는 데 참석자들이 뜻을 모았다"고 전했다.

40분간의 관계장관 회의 직후 교육부에서는 브리핑이 시작됐다. 전날 갑자기 회의 소집 통보를 받고 직원들은 밤새워 자료를 준비했다. 교육부 황인철 대학국장은 "12월 말 시작되는 정시모집에서 대학들은 내신을 1~9등급으로 모두 나눠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 국장은 "내신 1~2등급 동점 처리를 밝힌 서울대도 등급을 나누지 않을 경우 불이익을 받게 된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