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분별한 지하수개발 제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앞으로 서울시내 지하수개발이 크게 제한된다.
서울시는 14일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갈수록 높아지면서 무분별하게 이루어지는 지하수개발을 막고 지하수를 효과적으로 이용키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키로 하고 내년부터 2년 동안 서울시내 지하수실태를 조사, 이를 근거로 지하수개발을 선별적으로 남용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시는 이를 위해 93, 94년에 각각 1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하수이용 실태조사·분석 ▲지하수 분포현황 및 개발가능지역 조사 ▲지하수질 관리방안연구 ▲지하수개발에 따른 제반문제점등 4개 부문에 대해 용역을 실시한다 .
시는 용역결과를 근거로 지반에 암반층이 없거나 부근 1백∼2백m이내에 지하수가 개발됐을 경우에는 추가 지하수개발을 규제키로 했다.
또 지하수개발이 부근의 지하차도나 지하철 등 공공지하시설물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을 때와 지하수오염도가 기준치를 넘을 경우에도 지하수개발을 허용치 않기로 했다..
시는 이와함께 ▲지하수맥도와 지하수오염도를 작성, 지하수자료에 대한 전산화를 실시하고 ▲지하수개발 추진방향 및 개발종합대책을 수립하며 ▲지하수 이용방안 및 효율적인 관리대책을 마련하고 ▲지하수개발 규제법규에 대한 근거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관계자는 현재 서울시내에는 영업용 l만9백73개소, 가정용 1만9백35개소, 산업용 1천1백48개소, 기타 1천6백72개소 등 모두 2만4천7백28개소의 지하수가 개발돼 연평균 7천3백만입방m가 이용되고 있으나 지하수개발에 대한 법적 규제조항, 지하수오염실태 등에 대한 종합 자료가 거의 없어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최형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