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제41기 KT배 왕위전' 영원한 수수께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제41기 KT배 왕위전'

<도전자 결정전>
○ . 윤준상 6단  ● . 한상훈 초단

제2보(21~31)=흑▲ 뻗고 백△로 끊는 승부 호흡엔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숨어 있다. 끊는 수가 뻔히 보이는데 왜 뻗는가. 이유는 한 가지. 백의 절단이 아프지 않기 때문이다. 상대가 아프지 않다는데 백은 왜 끊는가. 첫째로 흑▲의 오만(?)을 그냥 넘길 수 없고, 둘째로 이용가치가 나름대로 충분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 두 생각은 서로 상반된다. 바둑은 이처럼 종종 상반된 길을 간다. 숱한 나날을 연구하고 실전을 통해 검증해 보지만 여전히 미완성인 채 각자 자기 길을 간다. 바둑은 그 자체가 영원히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다.

한상훈 초단이 21로 몰아간다. 이후 31까지의 수순은 수없이 가본 길이라 눈감고도 둘 수 있다. 중간 결산을 해보면 백 5점은 한 수 부족으로 잡혔다. A의 축도 성립되지 않는다. '참고도' 백1의 장문이 멋진 수이기는 하지만 흑2가 있어 역시 안 된다. 백5의 축이 이번엔 흑▲에 걸리는 것이다.

흑을 지지하는 프로들은 "맛은 나쁘지만 흑의 실리가 좋다"고 말한다. 맛은 맛이고 실리는 현실이라는 것이다.

다시 의문이 생긴다. 죽는 줄 빤히 알면서 백은 왜 끊었나 하는 점이다. 백을 지지하는 프로들은 "기분이 좋으니까"라고 말한다. 빈삼각은 우형의 표본이지만 더욱 최악의 형태는 네모다. 그런데 백은 흑으로 하여금 25의 빈삼각에 이어 29의 네모를 두게 만들었다. 하나 이런 '기분' 가지고는 '죽음'을 설명할 수 없다. 백도 믿는 바가 있으니 그중 가장 큰 것이 바로 A의 축머리 이용이다.

박치문 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