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면 죽는다, 모든 경기가 전쟁"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중앙SUNDAY

지난해 10월 9일 대한민국 공군에 우주군(宇宙軍) ‘테란’의 사령관이 자원 입대했다. 전 세계 인터넷이 들끓었다. ‘테란의 황제’로 불리던 사령관의 ID(Slayers_Boxer)를 딴 ‘boxerforever.com’이란 사이트가 만들어졌다. 프랑스·미국 등 세계 각지에서 ‘게임 역사상 가장 슬픈 날’ ‘황제를 영원히 잊을 수 없을 것’ 등 수백 개의 글이 올라왔다. ‘군 입대=재기 불능’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령관은 화려하게 복귀했다.

'황제'가 최초의 군 e-스포츠(컴퓨터 게임을 스포츠 경기처럼 운영하는 것) 팀 ‘공군 ACE’의 임요환(27) 일병으로 경기장에 돌아왔다. 다시는 못 볼 줄 알았던 황제의 복귀 소식에 수백 명씩 팬이 몰려들었다. 올 시즌 공군팀 경기의
평균 시청률은 0.55%, 6일 MBC와의 경기 때는 1.325%로 올 시즌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다. 프로리그 전체 평균 시청률은 0.35%다.

5월 9일 서울 코엑스 MBC 게임 경기장. “공군, 필승!” 여성 팬들의 새된 목소리가 울렸다. 팬들이 ‘皇帝’라고 쓴 ‘빨간 마후라’를 흔드는 가운데 임요환 일병이 출전했다. “필승!” 밤송이처럼 짧은 머리에 뿔테 안경, 운동복 스타일의 유니폼으로 거수경례를 하는 그에게서 ‘꽃미남’ ‘얼짱’의 옛 모습을 찾기 어려웠다.

15일 충남 계룡대 공군 중앙전산소에서 만난 임요환 일병은 군복 차림이었다.‘다.나.까’로 끝나는 군대식 말투도 몸에 배어 있었다. 전날 밤 서울에서 열린 스타크래프트 경기에 참가하고 새벽에 내려와 피곤한 기색이 역력했지만, “몇 시간이나 자느냐”는 질문에 “다른 병사들처럼 6~7시간 잡니다” 하고 총알처럼 대답했다. ‘다른 병사들처럼’이란 말은 인터뷰 내내 입버릇처럼 따라붙었다. “군대가 게임하러 가는 데냐”라는 일부의 비난과 “특별대우 받는 것 아니냐”라는 의심의 눈초리를 의식한 듯했다. 세 명의 상관이 배석한 긴장된 분위기가 그가 군복무 중이라는 사실을 실감하게 했다.

-군 입대가 늦었습니다.

“다른 선수들이 제대한 뒤에 경기력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고 지금까지 쌓은 모든 게 군대에 가면 물거품이 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을 느낀 것이 사실입니다. 마침 공군에서 e-스포츠팀을 창단한다고 해서 용기를 냈습니다.”

-어린 병사들과 함께 생활하는 게 쉽지않을 텐데요.

“훈련소에서 이틀 동안 사인을 3000장이나 했습니다. 조형근 상병 말씀이십니까? 네 살 어린 프로게이머 후배지만 팀의 주장이고 선임병이니까 당연히 존칭을 씁니다. 군대는 군대잖습니까.”

한 살 어린 강도경 상병도 사회에선 형ㆍ동생으로 친했지만 팀에선 ‘군기 반장’이다. 9일 경기장에서 본 장면이 떠올랐다. “야, 자리에 앉아 있으란다”는 말에 “예! 알겠습니다!” 하고 화장실 가는 것도 꾹 참던 임요환 일병의 모습이.
군인이기에 연습시간이 충분하지 않다. 지난 4월 창단한 12번째 e-스포츠팀인 공군 ACE 소속 선수지만 맡은 업무를 우선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휴식시간을 쪼개 연습한다. 그의 보직은 정보체계운영병(전산특기병). 컴퓨터로 문서작성 등을 하지만 가장 눈에 띄는 업무
는 ‘워 게임(war game) 테스터’다.

-워 게임 테스터는 무슨 일을 하나요.

“전쟁을 연습해볼 순 없지 않습니까. 적군과 아군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입력해 놓고 컴퓨터 게임 형식으로 모의 전쟁을 하는 것이 워 게임입니다. 섬세하고 빠른 손놀림이 필요하기 때문에 저 같은 프로게이머 출신들이 테스터로 많이 참여합니다.”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던 게릴라 전술로 유명했는데 워 게임 전략 개발에도 참여합니까.

“스타크래프트를 할 때는 제가 모든 유닛(전투 개체)을 조정하는 사령관이었지만, 워 게임을 할 때는 지휘관의 명령을 받아서 움직이는 한 명의 병사일 따름입니다. 재미 말입니까? 스타크래프트는 한 편의 드라마처럼 짜릿하지만, 솔직히 워 게임은 밋밋합니다.”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이라는 점에서 워 게임과 스타크래프트는 유사하다. 워게임은 정확한 데이터로 실제 전쟁 상황과 최대한 가깝게 만들고, 스타크래프트는 화려한 그래픽과 극적인 재미를 추구한다는 점이 차이다. 워 게임 책임자인 이강택 공군 전투발전단 모의분석과
장(중령)은 “프로게이머들은 손놀림이 빨라 1주일이 걸리는 테스트를 하루 이틀 만에 끝낸다. 게임을 해봤기 때문에 작전명령도 쉽게 알아듣는다. 특히 임요환 일병의 이해력은 놀랍다”고 말한다.

현재 복무 중인 프로게이머들은 사병이어서 군사기밀인 전략 개발에는 참여할 수 없지만, 앞으로는 워 게임 전담 장교ㆍ군무원으로 프로게이머를 선발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재윤(CJ엔투스) 선수에게 6연패 끝에 첫 승을 거뒀습니다. 입대 후 실력이 향상된 것인가요.

“예전에는 지든 이기든 멋진 전략을 선보이면 된다는 마음으로 했는데 군인이 된 지금은 모든 경기가 전쟁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예전엔 ‘지면 죽는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습니다.”

-스타크래프트 II가 출시돼 게임 환경이 바뀐다면.

 “관중이 10년 동안 스타크래프트를 사랑해 왔고 거기에 익숙하기 때문에 I과 II가 별도 리그로 운영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II로 다 바뀌더라도 (제가) 쉽게 무너지진 않을 겁니다. 두렵지 않다면 거짓말이지만… (잠시 망설이다가 목소리에 힘을 주며) 예, 금방 따라갈 수 있습니다.”

-제대 후 계획은.

“소속팀(SK T1)과의 계약이 2년 반 남았습니다. 계약이 끝나면 선수로 계속뛸 것인지, 지도자의 길을 걸을 것인지 결정하겠습니다. 게임 개발자로 진로를 바꾸는 건 이른 것 같습니다. 대학원(상명대 컴퓨터그래픽학과)에도 복학할 겁니다. 제대 전에 공군팀을 우승으로 이
끌고 싶습니다.”  

“군대에서도 계속 게임을 할 수 있어서 얼마나 감사한지 모른다”고 몇 번이나 말했지만, 30시간 동안 꼬박 안 자고 게임만 했을 만큼 연습벌레인 임 일병에겐 마음껏 연습할 수 없는 지금이 답답할 것이다.

“스타크래프트 외에 즐기는 게임이 있느냐”는 기자의 우문(愚問)에 “(시간이)아까워서 어떻게 다른 걸 합니까”라고 나지막이 말했다. 그는 인터뷰 중간중간에도 틈만 나면 촬영용 스타크래프트 화면을 클릭했다. 그만하라는 말을 차마 못했다.

임요환과 스타크래프트

"현실에선 석유 때문에 전쟁이 일어나잖습니까. 저 화면에 보이는 푸른색의 미네랄이라는 자원을 차지하기 위해 테란ㆍ프로토스ㆍ저그라는 세 종족이 전쟁을 벌이는 게임입니다."

“스타크래프트가 뭐냐”는 공군 간부의 질문에 임요환 일병은 이렇게 설명했다.

미국 게임사 블리자드가 1998년 3월 출시한 우주 전쟁 게임 스타크래프트의 역사는 곧 프로게이머 임요환의 역사다.

98년 서울 성보고 3학년 때 여름방학 내내 스타크래프트에 빠져 PC방을 들락거려 성적이 꼴찌에 가까웠다. 입시에 실패한 뒤 99년 프로게이머의 길에 들어섰다. 세 종족 중 가장 약하다는 인간형의 ‘테란’을 택해 ‘드랍십’(수송선)으로 게릴라 작전을 펼쳐 온게임넷 스타리그 2회 우승, 세계대회 2회 우승 등 승승장구, ‘테란의 황제’로 불린다. 게임마다 새로운 전략을 펼쳐 스타크래프트를 ‘하는 경기’에서 ‘보는 경기’로 바꿨고, 이는 연간 70만 명의 관중을 모으는 e-스포츠의 탄생으로 이어졌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임요환의 팬카페 회원은 60만 명. 단일 인물로는 국내 최대다. 프로게이머 1억원 연봉시대를 열었고, 최고 연봉 기록(2억여원)을 스스로 깼다. 현재 일병인 그의 월급은 7만2300원. 내년 12월 제대한 뒤 평균연령 20.4세의 프로게이머 세계에서 최초의 30대 프로게이머가 되는 것이 목표다.

1남3녀 중 막내. 동아전문대 컴퓨터게임학과, 원광디지털대 게임기획학과를 졸업했다.

계룡대=구희령 기자

중앙SUNDAY 구독신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