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날로그 TV방송 2012년 '아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디지털방송활성화위원회(공동 위원장 정보통신부 장관, 방송위원장)는 지난달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상파TV 방송의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방송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안'을 내놨다. 위원회는 올해 안에 이 법안을 국회에서 통과시킬 방침이다.

◆ 아날로그 방송 2012년까지=법안에 의하면 현재 아날로그와 디지털 방송을 함께 내보내고 있는 지상파TV 방송사업자는 2012년까지 아날로그 방송을 종료해야 한다. 이에 맞춰 가전업체도 TV와 VCR 등 TV 관련제품에 2010년까지 순차적으로 튜너를 단 제품을 의무적으로 출시해야 한다. 또 TV 및 관련 제품에 아날로그 방송 종료 사실과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알려주는 안내문을 붙여야 한다. 디지털TV 구입이 어려운 저소득층 지원책도 마련토록 했다.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면 디지털TV를 새로 구입해야 하는 등 시청자들의 경제적 부담은 늘어나지만 산업 파급효과는 엄청날 것으로 예상된다. 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디지털 전환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122조원, 고용유발효과는 연인원 84만 명이다.

◆ "지상파 입김 반영됐다"=이 같은 파급효과에도 불구하고 특별법안이 지상파TV 방송사의 입장만 너무 많이 반영한 게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대표적인 게 지상파 방송사가 무료 디지털 다채널 방송(MMS)을 할 수 있게 된 점이다. MMS는 디지털 방송 1개 방송 채널을 3~4개 채널로 쪼개 쓸 수 있는 방식이다. 지난해 시험방송 당시 화질 저하와 수신 오류가 발생하는 등 문제가 생기기도 했다. 한 인터넷 포털에서 디지털기기 사용자 모임을 운영하는 이군배씨는 "난시청 때문에 국민의 80%가 케이블방송으로 지상파TV 방송을 보는 문제는 도외시한 채 화질을 떨어뜨리는 MMS를 도입한 것은 안 된다"고 말했다. 케이블.위성TV 등 유료방송사업자들도 지상파TV에 MMS가 도입되면 시청자를 빼앗길 수밖에 없다는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방송사의 디지털 전환 비용 부담을 덜어줄 목적으로 수신료를 현실화(인상)하고 광고제도를 개선토록 한 것, 지원이 충분하지 않으면 아날로그 방송 중단 시기를 미룰 수 있도록 한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황근 선문대(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상업성을 추구하는 지상파 방송사들이 '디지털 전환은 보편적 서비스'라는 점을 앞세워 지원받으려는 것은 문제"라며 "방송위원회가 MMS 운영과 관련해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하현옥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