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도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경기도청은 1910년 한일 합방 후 옛 경기감영자리에 일본인에 의해 건축돼 67년6월23일 수원으로 옮기기 전까지 서울특별시 세종로 1가 (치안본부 자리)에 자리 잡고 있었다.
8·15해방 이듬해인 46년 미군정 당국이 『서울시 헌장』을 제정, 서울시를 경기도 관할에서 분리, 특별시로 승격시키면서부터 경기도청 청사의 위치 문제가 논란이 됐다.
1961년 5·16군사 쿠데타가 발발하자 당시 쿠데타 주도 세력 추종 인사들이 주동이 되어 인천과 수원에서 도청 유치 운동이 활발히 전개됐다.
인천에서는 유승원씨를 중심으로, 수원에서는 이병희씨를 중심으로 각각 경기도청 유치위원회를 구성, 자신의 정치 생명을 걸고 치열한 공방전을 폈다. 이같은 공방전은 이씨의 승리로 끝나 국가 재건 최고회의 (의장 박정희)는 2년2개월간의 군정이 막을 내리기 하루전인 63년12월16일 경기도청의 수원 이전을 의결, 법률 제1530호로 공포했다.
도청의 위치는 수원 공설 운동장 후보지로 마련된 수원시 매산로 3가 팔달산 중턱. 64년부터 3년간의 공사 끝에 67년6월23일 신청사 광장에서 정일권 국무총리, 이석제 총무처장관, 11대 박태원 지사를 비롯한 3만여 수원 시민이 참석한 가운데 역사적인 청사 이전식 겸 수원 시민 환영 대회가 치러졌다.
이병희씨는 6선의 정치 경력을 쌓는 동안 경기도청 수원 유치 공적을 1백% 활용했다.
경기도의 재정 규모는 82년 5천4백74억원에서 86년 1조7백54억원, 90년 4조6백87억원, 91년 5조5천9백38억원, 92년 6조2천억원 등으로 90년 이후 연간 1조원 이상의 신장세를 보이고있다.
서울특별시 8조9천억원에는 뒤지지만 전국 14개 시·도 가운데 최고의 규모로 재정 자립도는 82%에 이르고 있다. 총 면적은 1만7백72·88평방km. 인구 또한 해마다 폭발적으로 증가, 82년 4백16만명에서 86년 5백75만명, 90년 6백15만명으로 늘었으며 92년에는 6백50만명을 넘어섰다.
행정조직은 19개시 17개군 25개 읍 1백53개면 2백61개 동으로 구성돼 있으며 도 본청은 1실, 11국, 1본부, 1관 11담당관, 39과 1백7계의 기구를 두고 있다.
공무원 총수는 3만1천3백77명.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