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증시/별다른 역학관계 없다/한국신용평가등서 비교분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경제상황따라 등락폭만 다소 영향/87대선·88총선때 「선조정·후상승」
14대 총선거가 한달여 앞으로 다가와 있다.
한국신용평가(주)와 국내 경제연구소가 역대 여러선거 앞뒤의 주가흐름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주가는 당시 경제의 형편대로 움직였다. 당시 경기전망이 어두웠으면 주가는 선거를 치르면서 더욱 떨어졌다. 또 그때 경제형편이 좋았으면 주가는 상승세를 탔다.
그런데 이번 총선을 맞는 국내경기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더구나 선거자체가 지나친 정쟁등으로 인해 불안요소를 더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번 총선은 그렇지않아도 이달들어 질질 새고 있는듯한 주가에 별다른 기여를 하지 못하리란 분석이다.
양당체제가 자리잡혀있는 미국의 경우 4년마다 주가의 흐름에 변화가 오는데,이는 대통령선거의 주기와 일치한다. 그동안 민주당 집권때가 공화당집권때보다 평균적으로 오름폭이 컸다는 것이다.
미국에서 선거를 끼고 주가가 일정한 패턴을 보이는 것은 집권당정부의 행태와 관련이 있다. 통상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2년전부터 재정 및 통화에 있어 가시적인 팽창정책이 두드러지고 적극적인 경기부양에 따라 주식시장은 활기를 띠게 된다. 작년말 이후 오름세를 타고 있으며,올들어서만도 벌써 10차례나 사상최고치를 경신한 최근 미국뉴욕증시의 주가흐름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선거이후에는 상황이 달라진다. 방만한 부양정책을 버리고 수습하려는 긴축으로 정책의 방향이 바뀐다. 상대적으로 경기는 활력을 잃게되며 주식시장도 약세로 변한다.
우리 주식시장에선 선거에 따른 주가의 체계적인 흐름은 없었다. 우선 그동안 주식시장이 국내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별로 크지않아 87년 이전만해도 주가부양이 선거의 승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주식투자인구 또한 선거인구로서 의미를 둘 만한 변수가 되지 못했다.
선거또한 정책의 대결이라기 보다는 「지역주의」같은 이상한 변수에 좌우되면서 선거에 임하는 집권당 정부의 행태도 몇년간을 주기로 시장패턴을 좌우할만한 일관된 모습이 아니었다. 오히려 선거철에 즈음해 주식시장은 선거를 하나의 전국적인 「사건」으로 이해하고 그것이 통화나 물가에 미치는 영향등 경제현상에 의해 선거의 영향력을 실감하곤 했다.
국내 주가는 경기상승국면에서 치러졌던 87년 12월 대통령선거,88년 4월 국회의원선거(이른바 3저호황시절)때는 「선거전 조정,선거후 상승」양상을 보였었다. 그러나 경기후퇴기의 78년 국회의원선거,91년 기초의회 의원선거때는 내림세분위기 속에서 「선거전 소폭 반등후 재차 하락」하는 상황을 보였다.
우리 주식시장이 최근 침체에 빠져있긴 하지만 88년이후 그 규모가 급성장했다. 시가총액이 73조원으로 전체 총통화량과 맞먹는다. 주식투자인구도 그동안 국민주 보급등으로 계속 늘어나 2백42만명으로 전체 유권자수의 8.4%에 해당한다. 87년 대통령선거때는 후보들이 경쟁적으로 증권거래소와 증권사객장을 찾기도했다.
따라서 이제 거시경제정책이 더욱 선거를 의식하게 되며 증권정책도 선거공약으로 나와 시장의 화제가 될지도 모른다.<양재찬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