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학회 보건분야 61개로 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국내 과학기술계 학회의 회원 1명당 연간 예산은 보건분야가 가장 높고 농수산분야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가 최근 펴낸 『과학기술학회총람』을 통해 국내 학회의 현황을 분석해 본다.
◇학회·회원수=91년12월 현재 과총의 회원학회는 ▲이학부문 32 ▲공학부문 47 ▲농수산부문 34 ▲보건부문 61 ▲종합부문 29개 등 모두 2백3개. 정회원총수는 15만9천5백65명으로 학회당 평균 7백90명이었으며 회원1천명 이상인 학회는 36개, 2천명 이상의 매머드학회도 15개였다.
◇설립연대=전체의 27%인 54개 학회가 40∼50년대에 설립됐으며 60년대 39개, 70년대 53개, 80년대 57개 학회로 최근에 와 학문분야가 세분화되면서 학회설립도 늘어나고 있다. 분야별로는 보건부문의 학회가 가장 역사가 길었다.
◇회비=정회원의 연간 회비는 1백42개 학회가 1만원대, 40개 학회가 2만원대였으며 가입비 또는 종신회비 명목으로 10만∼20만원을 받는 학회가 있는가 하면 5천∼7천원인 학회도 4개나 있었다.
◇예산=2백3개 학회의 연간예산은 1백42억원으로 학회 당 평균 7천만원. 전체예산규모는 내과학회가 8억6천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5억원대의 토목학회·건축학회, 4억원대의 전자공학회, 3억원대의 정형외과·통신·전기·품질관리학회 등 1억원 이상이 39개 학회였다.
분야별로 보건부문이 회원 1명당 연간예산 12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밖에 공학 9만3천원, 이학 6만4천원으로 이는 대부분의 학회가 예산의 절반이상을 기업체 등 단체회원제도를 통해 조달하고 있는 셈이 된다.
◇학술활동=대부분의 학회가 연간 3∼4회의 학술모임을 갖고 있었다. 가장 활발한 학회는 전자공학회로 연간 81회나 됐으며 정보·금속학회도 활발한 편이었다. 이들 학회가 연 2회 이상 발간하고 있는 학술지는 영문14종을 포함, 2백40종이었으며 월간학술지를 발행하는 학회도 15개 학회나 됐다. <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