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잇는 입시부정에 대학가 “노이로제”/학교마다 방지책 「입체작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예체능 실기·면접 VTR 녹화/컴퓨터채점 수작업 검증/부정입학생 합격취소 명문화등 「묘안」마련 부심
서울대·이대·성대·건국대 등의 입시부정 충격에 이어 이대무용과의 입시부정이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입시를 60여일 앞두고 각 대학들이 입시부정 방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11일 각 대학에 따르면 이미 다수대학이 실기성적 반영비율을 5∼25%씩 낮추기로한 예체능계의 경우 실기·면접고사 감독을 강화하기 위해 고사장면을 VTR로 녹화,검증자료로 삼고 심사위원을 늘리는 등 심사방법을 바꾸기로 했다.
또 일반계도 부정입학자들에 대한 입학취소를 입시요강에 명문화 하고 컴퓨터 사정결과를 수작업으로 확인하는 등 다양한 입시부정 방지책을 마련하고 있다.
◇예체능계=한양대는 최근 VTR 12대를 구입,음대·미대·체대의 실기시험 장면을 녹화할 예정이며 동국대 연극영화과도 면접과정을 VTR로 촬영키로 했다.
숙대는 심사위원간의 몸짓 등을 통한 의사전달을 막기위해 심사위원들을 커튼으로 차단할 계획이며 서울대·한양대·중앙대 등은 실기 심사위원수를 지난해보다 20∼50% 가량 늘릴 방침이다.
서울대 음대는 또 일정수준 이상의 성적우수자를 실기성적만으로 입학전형 하는 「실기특례제」를 폐지하고 기악과의 경우 해당 전공교수들만 심사위원으로 위촉하던 방식대신 작곡 등 다른 전공교수들도 실기채점에 참여시켜 입체적인 입시관리를 할 계획이다.
이밖에 지난 3월 30여개 대학이 예체능계 실기반영비율을 낮추기로 발표한데 이어 2학기 들어서도 서울대 미대·이대 미대·고대 미술교육과 등이 하향조정을 확정,예체능계가 설치돼 있는 전국 85개 대학중 40여개 대학 이상이 실기반영비율을 낮춰 부정개입 소지를 최소화 시킨다는 계획이다.
◇일반계=서울대·건국대 등은 92학년도 모집요강에 「부정입학이 드러나면 입학 이후라도 합격취소한다」는 규정을 명문화했다.
건국대는 기존의 입학고사 관리위원회를 강화,위원회 산하에 채점관리위원회·사정위원회 등 5개의 소위원회를 설치,입시관리를 철저히 하고 「입시검증팀」을 구성해 입시가 끝난뒤 컴퓨터채점 결과를 수작업을 통해 다시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92학년도 입시가 끝나는대로 내년 2∼3월중 무작위로 정밀검사를 실시,부정사실이 확인되면 합격취소 조치는 물론 대학에 대해서는 증원·증과를 불허하고 재정지원을 중단하는 등 각종 규제를 강화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최근 29명이던 감사팀 인원을 15명 늘려 입시감사에 대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