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말 잘하는 백인 미녀 특파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워싱턴DC의 ABC-TV 스튜디오에서 방송준비를 하고 있는 소냐 크로포드.

미주중앙ABC 방송국의 워싱턴 특파원 소냐 크로포드 앵커우먼(35). 미 전역에 방송되는 ‘월드 뉴스’를 진행하는 그의 입에서 유창한 한국말이 쏟아져 나오면 사람들은 깜짝 놀라곤 한다. 외모를 보면 영락없는 외국인이기 때문이다.

 소냐 크로포드씨는 미국인 선교사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한국계 혼혈. 한국서 태어나 고등학교까지 마치고 미국에 와서 스탠포드 대학에서 정치학과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했다. 이후 라디오 방송 기자, 프로듀서(PD), TV 방송 리포터 등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NBC 전국방송 LA 지사에서 3년간 PD로 근무하면서는 TV속 아카데미상이라 불리는 에미상 수상의 영광까지 안았다. 당시 ‘데이트라인 NBC’라는 프로 중 한 코너를 맡아 O.J. 심슨 재판에 관한 내용을 다뤘을 때였다.

 “라디오 방송 기자 시절에는 빠르고 정확하게 글 쓰는 법을, 방송국 PD 시절에는 신선한 기획력, 효과적인 프로그램 제작법 등을 배웠어요.”

 무슨 일을 하든 항상 노력하고 그 속에서 배울 점을 찾아서 자기 발전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그의 큰 장점이다. 2002년 가을 ABC 전국방송 특파원으로 워싱턴 DC에 오게 된 그는 이후 4년간 새벽, 밤 근무를 거쳐 지난 2월부터 주말 방송을 맡고 있다.

 이처럼 놀라운 이력을 가진 크로포드씨의 옛 모습을 기억하는 한인들도 적지 않다. 고교생이던 80년대 후반에 한국에서 이미 TV·라디오 방송 출연, 모델, CF, 영화 출연 등 다양한 활동을 했기 때문.

 처음 방송계에 입문한 것은 고교 2학년생때 였다. 라디오 방송에 일주일간 특별 DJ로 출연하면서 팝송 영어 가사를 한국말로 재치있게 소개, 주목을 끌었다. 이를 계기로 KBS 방송국 ‘전국은 지금’ 프로에서 ‘영어 한마디’ 코너를 맡으면서부터 전국적으로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당시에는 리포터로 활약한 크로포드씨. 학교에서도 연극반 단원, 학교 신문사 편집장, 농구·배구팀의 치어리더로 활동하며 바쁜 학창 시절을 보냈다. 국제고등학교에 다니는 4년간 배운 스페인어 실력으로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리포터로 일할 만큼 우수한 학생이었다.

 “일과 학업을 동시에 병행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어요. 매일 아침 일찍 방송을 마친 후 학교에 가는 강행군의 반복이었거든요. 하지만 항상 ‘이보다 더 잘 할 수 있다’는 마음가짐으로 힘든 시절을 잘 극복할 수 있었어요.”

 또한 지금의 그가 있기까지 무엇보다 부모님과 가족의 뒷받침이 가장 컸다고 한다.

 “특히 어머니는 항상 제게 많은 일을 해보라고 조언해 주셨어요. 무엇을 하고 싶은지, 장차 무슨 일을 할지 결정하기 전에 가능한 많은 경험을 쌓아보라고요. 어머니한테 감사드려요.”
 하지만 크로포드씨는 놀랍게도 앞으로 1년후, 5년후 같은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본 적은 없다고 한다.

 “먼 미래는 생각해 본 적이 없어요. 저한테는 1년 뒤도 너무 멀게 느껴지는걸요. 하루하루 최선을 다해 열심히 사는게 전부예요. 지금까지처럼 하나님 뜻에 따라 살고 싶어요.” 

 앵커우먼으로서 지금은 눈에 띄지 않는 곳에서 세상을 변화시키는 일반인들을 많이 소개해보고 싶다고 한다. 그래서 시청자들이 ‘아, 나처럼 평범한 사람도 저런 좋은 일을 하는구나. 나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끔 말이다. 

미주중앙 유승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