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동결 - 중유 지원' 빅딜 진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이 8일 중국 베이징(北京)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재개됐다. 북한 핵실험(지난해 10월 9일) 뒤 두 번째 열린 이번 회담에서는 북한 핵 폐기의 초기 조치 이행과 나머지 5개국의 대북 지원 문제에 대한 기초적 합의가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국 수석대표인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이날 첫 회담을 끝낸 뒤 "각국의 기조 발언을 통해 북한 비핵화 초기 조치에 대한 합의가 이번 회담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인됐다"며 "의장국인 중국이 합의 문서 초안을 오늘 밤이나 내일 중 회람시킬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합의 문서 초안이 마련된다는 것은 이미 양자 접촉 등의 사전 협의에서 의견 접근이 상당히 이뤄졌음을 의미한다.

앞서 오후 베이징에 도착한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은 "우리는 초기 단계 조치에 대해 토의할 준비가 다 돼 있다"며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김 부상은 이날 회담에서 지난해 12월 회담 때와 달리 방코델타아시아(BDA) 북한 자금 동결 문제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회담은 수석대표 회의, 전체회의 순으로 진행됐다. 회담에 앞서 한.일, 북.중 등 다양한 형태의 양자 접촉이 이뤄졌다.

회담 관계자들은 북한이 중유 등 에너지 지원을 받는 조건으로 원자로 가동 중단에 합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핵 동결' 대 '에너지 지원'의 틀로 구성된 1994년 북.미 제네바 합의와 유사한 합의가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외견상 제네바 합의와 비슷하더라도 당시는 동결 자체가 목표였고 이번엔 이미 보유하고 있는 핵물질.핵무기도 곧 모두 없앤다는 전제하에 동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근본적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이상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