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횡단 광케이블 사업/한국참여 무산 위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통신부문 COCOM 규제 강화/미서 광케이블 수출금지 요청/「해제」 반도체등 동구특수 기대
통신부문에 대한 대 공산권 수출통제위원회(COCOM)규정이 강화됨에 따라 유럽에서 소련을 거쳐 부산·일본을 연결하는 소련횡단 광케이블(TSL)사업에 대한 한국의 참여계획이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반도체·컴퓨터·전전자교환기(TDX)등은 코콤규정이 대폭 완화돼 대 공산권수출특수가 기대되는 등 업계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13일 상공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코콤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이 오는 9월1일부터 새로 시행될 코콤 리스트작성과정에서 통신부문에 대한 공산권수출통제를 강력히 요청,광케이블에 대한 수출금지를 결정함에 따라 소련의 TSL사업이 큰 차질을 빚게됐다.
이에 따라 작년말 한국기업이 미국기업과 합작으로 따낸 TSL프로젝트중 이반고로드에서 모스크바에 이르는 5억달러 규모의 광케이블사업은 거의 실현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TSL프로젝트는 덴마크의 코펜하겐∼소련 이반고로드∼모스크바∼시베리아∼나홋카∼부산∼일본을 연결하는 소련정부의 야심찬 통산망확충계획으로 사업규모가 1백억달러를 훨씬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미국은 그러나 광케이블이 첨단기술 제품이라는 이유로 이의 수출을 강력히 규제하고 있는데 최근 상공부에 한국기업의 광케이블수출을 허가해주지 말도록 요청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새 코콤리스트에서 반도체·퍼스컴·TDX(전전자교환기)등은 규제가 거의 풀려 대 공산권수출특수가 기대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