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재벌가의 성공 대물림 자녀 교육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여성중앙 '자식 농사'만큼 어려운 일이 있을까? 대를 이어 기업을 이끌어야 하는 명문 기업가들도 자식 교육은 기업 경영만큼이나 중요하고 어려운 일이다. 삼성, 현대, LG 등 대기업과 배상면주, 샘표, 청풍 등 중견 기업인들의 자녀 교육법을 통해 성공적인 '자식 농사' 비법을 찾아보자.

초일류 기업을 일군 삼성家

초대 고 이병철 회장에서 이건희 회장으로 다시 차세대 경영자로 주목받는 3세 자녀들(장남 재용은 삼성전자 상무, 큰딸 부진은 신라호텔 상무, 둘째 딸 서현은 제일모직 상무보로 재직 중)에게 그대로 이어지는 삼성가의 핵심적인 자녀 교육 방법은 가르치지 말고 스스로 찾아 배우게 하나는 것이다.

여섯번 이상 '왜'라고 질문하라 상황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문제가 생길 때마다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자신에게 끊임없이 물으며 사고를 키워 나가는 소위 '케이스 스터디'가 효과적이다. 이건희 회장은 부친의 영향으로 남보다 먼저 고민하고 남보다 앞서 큰 물고기를 잡는 '숲을 보는 눈'을 키웠다.

적고 또 적는 메모 습관을 길러라 이병철 회장은 사사로운 것까지 메모를 해서 일과를 진행했다. 이는 단순한 기억보관용 메모가 아니라 자기반성용 메모로 활용한 것. 이건희 회장 역시 1990년대 중반까지 품 안에 소형 녹음기를 넣고 다녔다. 매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기록으로 남기려는 의도다.

말 잘하는 아이보다는 잘 듣는 아이로 키워라 이병철 회장은 경청이라는 글귀를 통해 듣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건희 회장도 본인이 직접 나서서 이래라저래라 하기보다 큰 그림을 그려놓고 다른 사람의 말을 귀 기울여 듣기만 하고 잡다한 말을 많이 하지 않는다. 경청은 상대방을 인정하고 관심과 존중을 표현하는 배려인 것이다.

상상력과 창의력이 풍부한 아이로 길러라 이건희 회장은 자녀들에게 성적만을 강요하지 않았다. 운동도 하고 취미 생활도 즐기면서 다양하게 살라고 충고할 정도로 자유방임적 교육을 중시했다. 부인 홍라희 관장(리움미술관)도 문화를 특별한 것이 아닌 생활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도록 어릴 때부터 문화적 감수성을 길러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화합하는 유교 가풍의 힘 LG家

구본무 LG회장 일가의 자녀 교육을 한마디로 말하면 '가족 간의 인화(人和)'다.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유교적 가풍이 녹아 있는 자녀 교육은 매우 엄격하기로 유명하다. 구인회 LG그룹 창업주의 자녀는 6남 4녀, 장남인 구자경LG그룹 2대 회장은 슬하에 4남 2녀를 둘 만큼 자손이 많다보니 가족 구성원 간의 화합과 인화가 필수 교육이 되었던 것.

한번 사귄 사람과 헤어지지 말고 헤어진다면 적이 되지 마라 이런 가르침은 70년 이상 지속됐던 허씨 가문과의 동업 관계에서 빛을 발했다. 2005년 LG와 GS가 분사되는 과정에서 이 가르침을 충실히 따른 것. 이는 위계 질서가 엄격한 유교적 전통에서 가능한 일이다. 또한 인간관계에서도 약속과 신의를 강조한다.

부는 스스로 일구어야 가치가 생긴다 구본무 회장은 믿기지 않을 정도로 소탈하고 검소하다. '돈이란 벌때 아껴 써야 하는 법'이라는 것이 구 회장의 지론. 창업주를 필두로 자녀들에게 대대로 근검절약 정신과 독립심을 가르친 것이다. 또한 부모형제에게 의존하지 말고 스스로의 힘으로 경제적인 독립을 이룰 것을 강조했으며 큰 돈에는 배포를 가지지만 한 푼의 돈도 헤프게 쓰는 것은 용서하지 않았다.

어렵고 힘들고 더러운 것을 밑천으로 삼는다 교사를 꿈꿨던 구자경 회장은 5년간 교사로 재직하다가 부친의 강력한 부름으로 경영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한순간에 교사에서 공장에서 먹고 자고 일하는 '공장 지킴이'로 전락한 것. 4년 넘게 공장 근로자로 고생하는 아들을 보며 구인회 회장은 "대장앙이는 하찮은 호미 한 자루 만드는 데도 담금질을 되풀이해 무쇠로 단련한다. 내 아들이 귀하니까 저렇게 일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재계 명문 현대家

현대그룹을 설립한 고 정주영 회장은 따로 시간을 내거나 특별한 방법을 내세워 자식 교육을 시키지 않았다. 다만 아침 식사만큼은 가족이 함께 모여 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밥상머리 교육의 키워드는 '근면'과 '성실'이다. '한결같이 부지런하면 천하에 어려움이 없는 법'이라는 가르침을 주기 위해 평생 새벽 5시면 자식들과 아침을 같이 먹는 근면한 생활을 몸소 보여줬다.

자녀에게 행동으로 모범을 보여라 정주영 회장은 특별한 매뉴얼 없이 본인들의 의사에 맡기는 자유방임적 교육 방법을 취했다. 현대는 자녀 앞에서 말을 앞세울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자립심과 긍정적 신념을 강조했고 창조와 개척정신을 심어주려고 노력했다.

인정과 의리의 가풍을 가르쳐라 정몽구 회장은 자녀들에게 '의리'와 '인정'을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가르쳤다. 특히 가족 간의 결속을 매우 중요시한다. 시위들까지 모두 불러 주말마다 아침 식사를 함께 하고 종종 주말 농장을 찾아 가족애를 쌓는다. 어려운 사람을 헤아릴 줄 알아야 한다는 가르침에 봉사 활동 역시 게을리 하지 않는다.

아침형 인간으로 키워라 정주영 회장에 이어 정몽구 회장도 아침 6시 30분이면 회사에 출근한다. 아침에는 두뇌 회전이 활발하고 집중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중요한 의사 결정과 토의는 주로 아침 시간에 집중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하고 만다'는 돌관정신을 가르쳐라 현대가의 상징적인 이미지는 불도저식 정신. 난관을 돌파해내는 돌관정신을 강조한 정주영 회장은 어떤 난관에 처할 때마다 "해보기나 했어"라며며 특유의 추진력을 발휘했다. 이와 더불어 겸손과 예절 교육 또한 빼놓을 수 없는 가정 교육의 핵심이다.

초일류 과학의 산실 SK家

SK의 고 최종현 회장의 장남과 차남 모두 대학에서 자연과학을 전공한 것은 경제를 잘 알려면 먼저 물리나 화학 등의 자연과학을 공부해야 한다는 신친의 가르침 때문이었다. 최회장은 자녀들이 어떤 일에 의문을 가지면 그것을 합리적으로 잡득할 수 있을 때까지 철저하게 파고들도록 훈련시켰다. 끝까지 문제를 쫓아 결국 스스로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탐구하는 과학적 사고과 호기심을 키운 것이다.

늘 부족한 듯 생활하라 최종현 회장은 미국 유학 시절 자식들이 결코 풍족하게 살 수 있도록 하지 않았다. 용돈이 부족해 항상 가정교사로, 학교 식당 접시닦이로 아프바이트를 전전해야 했다. 한번은 최태원 회장이 중고차를 샀는데 최종현 회장은 이것을 어떻게 구입했는지 일일이 현지 지사장으로부터 자금 출처를 확인 받았다고 한다.

자기 밥그릇은 스스로 찾아 먹어라 최종현 회장은 평소 "내거 자식들에게 물려주고 싶은 것은 물적 재산이 아니라 재산이 만들어지는 방법"이라는 말을 자주 했다. 지식이 있으면 재물이 따라온다. 허나 지식 없이 재물만 있다면 그 재물은 오히려 사람을 불행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자신의 능력을 스스로 닦지 않고 물려받은 재산은 사상누각에 불과한 것.

무언의 교육으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워라 경영상의 어렵고 힘든 문제를 상의하려면 최종현 회장을 찾아간 이들에게 "그건 네 문제구나 ̄ 네가 고민하고 풀어라"며 쫓아냈다고 한다. 정답을 알려주기보다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스스로 깨우치게 하려는 속 깊은 뜻이다.

여성중앙=김종학 기자
참고자료=『명문 기업가의 자식농사』밀리언하우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