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의견이 잘못된 처신?" vs 오세훈 "보여주기식" 설전 2R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해외 직접구매(직구) 정책 혼선을 둘러싸고 여권 잠룡들의 정부 비판이 잇따르는 가운데, 이를 매개로 오세훈 서울시장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수차례 논박을 주고받아 눈길을 끌었다.

한동훈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왼쪽)과 오세훈 서울시장. 뉴스1

한동훈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왼쪽)과 오세훈 서울시장. 뉴스1

오 시장이 먼저 공세를 취했다. 그는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정책 전체에 큰 문제가 있는 것처럼 지적하는 것은 여당 중진으로서의 처신에 아쉬움이 남는다”고 썼다. 실명을 일일이 적시하진 않았지만, 나경원 당선인과 유승민 전 의원 등이 앞다퉈 정부 정책을 비판한 직후였다. 한 전 위원장도 “개인 해외 직구시KC인증 의무화 규제는 소비자 선택권을 제한한다”고 비판했다.

오 시장의 공개 지적에 당사자들은 일제히 발끈했다. 특히, 한 전 위원장은 오 시장의 공개 지적 하루만인 21일 페이스북을 통해 “방향이 맞다는것만으로 좋은 정책이 되지 않는다. 시민의 선택권을 제한할 때 정교하고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한 전 위원장은 특히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 건설적인 의견제시를 ‘처신’ 차원에서 다루는 것에 공감할 분 많지 않을 것”이라며 처신이란 표현을 문제 삼았다.

오 시장은 2시간 뒤 페이스북으로 “처신이라는 표현은 정제되지 않은 표현”이라고 유감을 표했다. 그러면서도 한 전 위원장의 SNS 활용 방식을 두고 “내부 통로는 놓아두고 보여주기만 횡행하는 모습이 건강하지 않다”며 “중진은 필요하면 대통령실, 장·차관에게 연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 눈치 보는 당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소신은 변함없다”면서도 “여당 정치인의 SNS 의견제시는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총선 때 ‘윤ㆍ한(윤석열ㆍ한동훈) 갈등’ 파동과 윤 대통령 만찬 제안 거절 등으로 대통령실과 소통에 원활하지 않은 한 전 위원장의 약한 고리를 파고든 것이다.

전날 오 시장과 직구 규제를 두고 설전을 벌인 유승민 전 의원도 이날 페이스북에서 오 시장을 향해 “SNS로 의견제시를 하는 것은 필요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는 무슨 억지인가”라며 “오 시장의 논점 일탈은 SNS 금지령으로 귀결되는 건가”라고 따졌다.

별개로 당권 주자들의 정부 비판은 이어지는 중이다. 안철수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에 출연해 “현장에서 경험도 하지 않은 전형적인 탁상공론 또는 정책 실패의 전형”이라고 비판했다. 윤상현 의원도 전날 같은 라디오에 나와 “10일 정도 전에 정부가 안전대책을 강구하라고 촉구했다”며 “국무조정실에서 탁상행정으로 흐른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