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월 윤·한 갈등→2월 조국당 창당→3월 이종섭·황상무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순직한 해병대 채수근 상병 사건 수사를 받던 이종섭 전 호주대사 사태, 황상무 전 시민사회수석의 회칼 발언, 윤석열 대통령의 ‘875원 대파’ 발언 등은 선거를 앞둔 여당에 큰 악재로 작용했다.

순직한 해병대 채수근 상병 사건 수사를 받던 이종섭 전 호주대사 사태, 황상무 전 시민사회수석의 회칼 발언, 윤석열 대통령의 ‘875원 대파’ 발언 등은 선거를 앞둔 여당에 큰 악재로 작용했다.

심판론으로 치러진 22대 총선은 야권의 압승으로 끝났다. 여는 거야(巨野) 심판론을, 야는 윤석열 심판론을 주장했다. 결과적으로 유권자들은 윤 대통령을 비롯한 여권의 잘못이 더 크다고 봤다. 올 초부터 100여 일간 야권의 승리를 가져온 결정적 장면을 시간별로 재구성해 봤다.

◆삐걱대는 여권=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해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로 충격에 빠진 여권이 급히 투입한 구원투수였다. 그러나 한 위원장은 주요 국면에서 윤 대통령과 부딪혔고, 급히 봉합된 당정 관계는 시너지는커녕 여권의 동력을 떨어뜨렸다.

1차 갈등은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의혹을 놓고 김경율 국민의힘 비대위원이 1월 17일 ‘마리 앙투아네트’를 언급하면서 불거졌다. 한 위원장이 ‘국민 눈높이’ 발언으로 김 위원을 옹호하자 대통령실이 한 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하면서 갈등이 표면화됐다.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은 6일 후 충남 서천시장 화재 현장에서 만나 갈등을 봉합했으나 오래가지 못했다. 두 사람은 3월 이종섭 전 국방부장관(전 주호주 대사)의 출국과 황상무 전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의 ‘회칼’ 발언으로 다시 부딪혔다.

관련기사

◆조국혁신당 돌풍=조국 대표가 이끈 조국혁신당 바람은 이번 총선 최대 이변으로 꼽힌다. 2월 13일 창당 선언 때만 해도 조 대표의 사법리스크 등을 들어 부정적인 전망이 우세했다. 하지만 조국혁신당이 민주당 공천 파동에 실망한 친문(친문재인) 및 호남 지지층을 흡수하는 데 성공하면서 상황을 반전시켰다. 전문가들은 총선 슬로건으로 내건 ‘지민비조’(지역구는 민주당, 비례는 조국혁신당)와 선명한 정권심판론이 소극적인 야권 지지층을 투표장으로 이끌었다고 평가한다. 조 대표는 원내 진입 시 첫 과제로 ‘한동훈 특검법’을 내세웠다.

◆계속되는 용산발 악재=해병대 채 상병 사망사고 수사에 부당하게 개입한 의혹을 받던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호주대사에 임명하자 여론이 들끓었다. 지난달 10일 호주로 출국한 이 전 장관이 공직자범죄수사처로부터 출국금지로 묶여 있었다는 사실도 뒤늦게 알려졌다. 여기에 황상무 전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이 지난달 14일 일부 기자들과의 식사 자리에서 ‘언론인 회칼 테러 사건’을 언급한 것도 불난 여론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됐다. 한동훈 위원장이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비판하는 등 진화에 나섰지만 대통령실의 대응은 늦었다. 그사이 여론은 더 악화했다.

◆3월, 민주당 ‘비명횡사’ 수습=민주당으로 무게추가 기울기 시작한 것은 3월 중순 공천 파동을 수습하면서다. 2월 경선 페널티가 적용되는 현역 의원 하위평가자 통보가 시작되면서 민주당은 내홍에 휩싸였다. 임종석·홍영표·박용진 등 비명·친문계 의원들이 대거 컷오프(공천배제)된 자리가 친명계 인사들로 대체되면서 ‘비명횡사’ 논란이 확산했다. 이재명 대표는 ‘공천 혁신’이라며 물러서지 않았고, 이낙연 전 총리 등 이탈 그룹의 새로운미래 창당과 김영주 의원의 국민의힘 입당 등으로 내부 분열이 현실화됐다. 하지만 지난달 11일 김부겸·이해찬 등 당 원로들이 상임 공동선대위원장으로 합류한 것을 기점으로 분위기는 빠르게 수습됐다. 임종석 전 의원 등 컷오프 인사들도 속속 지원 유세에 합류하며 힘을 보탰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