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 등 건조주의보…봄철 ‘도깨비불’ 최대 2km까지 날아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대형산불 현장 비화(도깨비불) 현상. 사진 산림청

대형산불 현장 비화(도깨비불) 현상. 사진 산림청

최근 맑은 날이 이어지며 건조한 탓에 대형산불 발생 위험이 커지고 있다.

9일 서울과 경기내륙 일부, 충북 청주 등에는 건조주의보까지 내려져 있다. 현재 제주를 제외한 전국에 ‘경계’ 단계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제주엔 ‘주의’ 단계 경보가 발령됐다.

이와 관련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날 날아가는 불똥으로 인한 산불 위험성을 모의하기 위한 실험 결과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펠릿(지름 6㎜)에 불을 붙여 초속 0∼10m/s의 바람으로 불똥을 만들어 날려본 결과, 최대 621℃로 17m를 날아가 작은 불씨로도 쉽게 불이 붙는 것이 확인됐다.

봄철 산불은 ‘도깨비불’로 불린다. 거센 바람을 탄 불씨가 날아가 동시다발적으로 번지며 대형화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022년 울진·삼척, 지난해 강릉 경포대 산불 당시에도 순간 최대풍속 29m/s의 바람에 의해 불똥이 산과 하천을 뛰어넘어 약 2㎞까지 날아가 빠르게 퍼졌다. 이로 인해 274세대 551명의 이재민과 주택 204동이 소실되는 등 많은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또한 바람이 산불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한 결과, 산불 확산 속도가 26배까지 빨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무풍·무경사 조건에서 시작된 불은 분당 약 0.19m의 느린 속도로 이동했지만, 풍속 6m/s와 경사 20°의 조건에서는 분당 최대 4.94m까지 확산됐다.

특히, 2023년 홍성·금산·함평·영주 산불 등 피해가 컸던 대형 산불은 주로 봄철인 4월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의 영향으로 불똥이 날아가 산불이 빨리 확산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권춘근 박사는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이 불 때 사소한 불씨로도 대형 산불이 발생할 수 있다”며 “산림 인접 지역에서는 논·밭두렁이나 쓰레기를 태우는 등의 행위는 매우 위험하며, 모두가 경각심을 갖고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구글 클라우드의 생성 AI를 기반으로 중앙일보가 만든 AI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작성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