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병기 ‘필향만리’

喪者之側 未嘗飽也(상자지측 미상포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공자는 작은 일도 소홀히 하는 법이 없었고, 제자들 또한 그런 스승의 일거수일투족을 꼼꼼히 살피고, 따라 배우며 기록했던 것 같다. 그래서 『논어』는 읽을 때마다 소박하면서도 깊은 생활 철학의 맛을 느끼곤 한다. 상가에 문상하는 공자의 모습을 제자들은 “선생님께서는 상을 당한 사람 곁에서는 일찍이 배불리 잡수신 적이 없다”고 기록하였다. 소소한 듯 중요한 이야기이다.

喪: 잃을 상, 側: 곁 측, 嘗: 일찍이 상, 飽: 배부를 포. 상을 당한 사람 곁에서는 배불리 먹지 않았다. 32x70㎝.

喪: 잃을 상, 側: 곁 측, 嘗: 일찍이 상, 飽: 배부를 포. 상을 당한 사람 곁에서는 배불리 먹지 않았다. 32x70㎝.

문상할 때는 경건한 마음으로 망자에게 마지막 인사를 하고, 상주들의 슬픔을 위로해야 한다. 그런데 요즈음 풍습이 경박해지다 보니 문상하러 가서도 포식하고 음주하며 큰 소리로 즐겁게 떠드는 사람이 있다. 심지어는 상주도 술자리에 어울려 거나해지는 경우도 있다. 상주를 위로하기 위해 국어사전에도 없는 ‘호상(好喪)’이라는 말을 만들어 “고통스럽게 앓지 않고 장수하셨으니 ‘호상’이라 할 만하네. 너무 슬퍼 마시게”라는 식으로 가끔 사용했던 것을 상주 본인이 ‘호상’ 운운하며 나불대는 경우도 있다. ‘좋은 죽음’이라니? 패륜에 가까운 무례이다.

죽음을 슬퍼하지 않고 쓰레기 치우듯 상을 치르면 생명의 소중함을 망각하게 된다. 생명을 경시하는 사회에서는 내 생명도 경시된다. 상가에서 포식하며 즐기는 것은 자신의 생명을 경시하는 행위이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