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조경가 정영선 "한국의 산천은 신이 내린 정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영선 작업의 큰 전화점이 된 용인 호암미술관의 '희원'.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정영선 작업의 큰 전화점이 된 용인 호암미술관의 '희원'.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경춘선 구간 중 운행이 중단된 일부 간을 공원화한 '경춘선숲길'. 철길 일부를 보존해 경춘선을 기억하는 사람들의 향수를 간직하도록 했다. [사진 서안조경]

경춘선 구간 중 운행이 중단된 일부 간을 공원화한 '경춘선숲길'. 철길 일부를 보존해 경춘선을 기억하는 사람들의 향수를 간직하도록 했다. [사진 서안조경]

지금으로부터 67년 전, 그는 국어 교사였던 아버지와 집 앞 정원을 처음으로 가꿨다. 그의 나이 열여섯 살 때였다. 아버지 덕분에 대구 기독교 학교 사택에 살며 외국 선교사들이 학교 정원에 꽃과 나무를 심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접했고, 고등학교 땐 학교 온실을 맡아 관리했다. 학창 시절 남다른 글 솜씨로 백일장을 휩쓸었지만, 그는 펜으로 시(詩)를 쓰신 대신 흙과 나무, 풀과 꽃들로 시를 쓰는 삶을 살아왔다. 한국 1세대 조경가 정영선(83)씨 얘기다.

국립현대미술관 정영선 개인전 #호암미술관 '희원'도 그의 작품 #여의도샛강공원·선유도로 명성 #60여 개 프로젝트, 자료 500점 #미술관 마당 정원도 직접 꾸며

이름만 대면 누구나 알 만한 수많은 공원과 수목원이 그의 손길을 거쳤다. 이를테면 아시아선수촌아파트와 아시아공원(1986), 예술의전당(1988), 여의도 샛강생태공원(1997), 호암미술관 희원(1997), 선유도공원(2001), 경춘선숲길(2015~2017)등이 그의 작품이다. 그가 작업해온 길이 곧 한국 조경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경가 정영선의 삶과 작품세계를 조명하는 전시 '정영선: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9월 22일까지)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5일 개막했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리는 최초의 조경 전시다. 전시는 '대전 엑스포' 등 그가 참여한 국가 주도의 공공 프로젝트를 비롯해 제주 오설록 티뮤지엄 등 민간 기업 프로젝트, 수목원과 식물원 등 작업의 주제와 성격에 따라 7개 묶음으로 나눠 소개한다. 조경이라는 분야 특성상 현장의 작품을 직접 보여줄 순 없지만 청사진과 설계도면, 수채화 그림, 모형, 영상, 사진 등 기록 자료 500여 점이 조경이 우리 삶과 밀접한 종합예술임을 보여준다.

"조경은 건축의 뒷전 아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전시를 여는 조경가 정영선씨. [뉴시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전시를 여는 조경가 정영선씨. [뉴시스]

제주 오설록 이니스프리 전경(2013). 김용관 작가 촬영.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제주 오설록 이니스프리 전경(2013). 김용관 작가 촬영.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정영선 개인전 전시 전경. 유리 바닥 아래 다양한 프로젝트의 기록 자료를 배치했다. [뉴시스]

정영선 개인전 전시 전경. 유리 바닥 아래 다양한 프로젝트의 기록 자료를 배치했다. [뉴시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전시 마당에 정영선 조경가가 직접 조성한 정원. [연합뉴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전시 마당에 정영선 조경가가 직접 조성한 정원. [연합뉴스]

4일 미술관에서 기자들과 만난 작가는 이번 전시에 대해 "한마디로 감개무량하다. 그동안 조경 분야는 그냥 건축의 뒷전 정도로만 알려져 왔는데 제가 후배들을 위해 앞으로 길을 마련할 기회라 생각해 창피하고 부끄럽지만 기꺼이 나섰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의 삶은 1961년 대학 진학 때부터 남달랐다. 가족들은 그가 문학을 전공할 것이라 기대했지만 그는 서울대 농학과를 택했다. 1973년 서울대 환경대학원에 환경조경학과가 생겼을 때 1회 입학생으로 들어갔고, 대학원을 졸업한 뒤엔 1975년 청주대 조경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이어 1977년 충청북도 공원묘지 계획으로 실무를 시작했고, 1980년 여성 1호로 국토개발기술사(조경) 자격을 땄다.

숱한 프로젝트 중 '탑골공원' 개선사업(2002)과 '광화문광장' 재정비(2009) 등은 공간의 정체성을 만드는 데 기여한 작업으로 꼽힌다. 서울과 춘천을 잇던 철도 노선이 바뀌면서 6.5km의 구간을 공원화한 경춘선숲길 프로젝트도 마찬가지다. 플랫폼과 철길 등 근대 산업시설과 인근 숲은 보존하고, 공원은 주민들의 일상 공간으로 조성한 이 작업은 조경 설계가 도시 재생과 지역 활성화를 이끈 모범 사례로 꼽힌다.

조경은 국가 주도의 공공 프로젝트로 발전된 도시의 비전을 보여주는 역할도 했다. 아시아선수촌아파트와 아시아공원, 대전엑스포 등이 그런 예다. 예술의전당과 휘닉스파크(1995)는 경제 성장으로 늘어난 가족 단위 여가활동을 위한 장소를 조성하는 데 조경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잘 보여준다.

전통정원의 아름다움 살린 희원

호암미술관 희원 전경( 2002). 양해남 촬영.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호암미술관 희원 전경( 2002). 양해남 촬영.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다양한 석상이 곳곳에 배치된 희원의 모습.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다양한 석상이 곳곳에 배치된 희원의 모습.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호암미술관 희원의 식재 현황 도면(1997). [사진 서안조경]

호암미술관 희원의 식재 현황 도면(1997). [사진 서안조경]

정영선 조경가가 설계한 '선유도공원' 시간의 정원의 여름, 2019. 이동협 촬영.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정영선 조경가가 설계한 '선유도공원' 시간의 정원의 여름, 2019. 이동협 촬영.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여의도샛강생태공원(2023). 정지현 촬영.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여의도샛강생태공원(2023). 정지현 촬영.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그에게 가장 큰 전환점이 된 것은 1997년 '희원(熙園)'을 조성한 작업이다. 희원은 용인 호암미술관의 정원으로, 한국 전통 정원의 진수를 보여주는 곳으로 손꼽힌다. 대학원 시절 창덕궁 후원을 문턱이 닳도록 드나들며 한국 정원의 아름다움을 탐구했던 그는 이곳에서 비로소 '석단' '정자' '연못 ' '담장' 등의 전통 요소를 본격적으로 구사했다.
특히 희원 조성을 통해 그는 지형의 높낮이를 자연스럽게 살리고, 석단과 정자, 연못 등이 서로 숨겨주고 드러내도록 유연한 흐름으로 연결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희원은 또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 등 국내 자생 화초와 더불어 신라시대 석탑을 비롯해 정원 곳곳에 무심하게 놓인 듯한 석조물이 아름다움을 더하는 곳으로도 이름이 높다.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은 도심 한강변 중 가장 자연성이 강한 공원으로, 또 선유도공원은 도시 산업화의 흔적을 자연의 힘으로 회복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진 프로젝트로 꼽힌다. 서울아산병원 녹지공간(2007)과 미국 뉴욕주 허드슨강 상류에 지어진 종교시설 원다르마센터(2011)는 몸과 마음을 위로하고 치유해주는 자연의 힘을 극대화한 프로젝트로 눈길을 끈다.

"검이불루 화이불치" 

중국 광동성 월수공원 '해동경기원'(2023) 모습. Jin Weiqi 촬영.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중국 광동성 월수공원 '해동경기원'(2023) 모습. Jin Weiqi 촬영.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미국 뉴욕 허드슨강 상류에 조성된 종교시설 원다르마센터 가을 전경. [사진 원다르마센터]

미국 뉴욕 허드슨강 상류에 조성된 종교시설 원다르마센터 가을 전경. [사진 원다르마센터]

전시 작품은 조경이라는 분야의 특성 때문에 대부분이 자료 위주이지만, 관람객이 미술관에서 직접 볼 수 있는 작품도 있다. 미술관 안 전시 마당과 뒤편 종친부 건물 앞에 작가가 직접 조성한 두 개의 정원이다. 언뜻 보면 특별히 한 게 없는 듯하지만, 낮은 언덕을 만들고 돌을 여기저기 흩어 놓고 야생화를 곳곳에 심어 관람객이 계절의 변화를 느끼게 섬세하게 설계했다.
이지회 학예연구사는 "이곳에 작가의 '꾸안꾸'(꾸민 듯 꾸미지 않은 듯 자연스러운 모습)의 미학이 녹아들어 있다. 전시가 이어지는 6개월 동안 시간이 흐르며 더욱 풍성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두 개의 정원은 전시가 끝난 뒤에도 3년간 미술관 공간을 지킬 예정이다.

그렇다면 50년 조경 작업을 해온 정씨는 한국 정원이 가진 아름다움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전시장에서 그는 "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라는 말을 거듭 강조했다. 이는『삼국사기』의 백제본기와 『조선경국전』에 등장하는 고사성어로, "소박하지만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다"는 뜻이다. 본래 백제 예술, 조선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말이었지만, 한국 정원이 추구하는 아름다움에도 들어맞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우리 산이 바로 내 작업의 교과서였다"면서 "한국의 산천이야말로 신이 만든 정원이자 천국"이라고 말했다. 이어 "문제는 우리 가까이에 있는 천국을 못 알아보고 마구잡이로 개발하며 망치고 있는 것"이라며 "이번 전시가 그 난개발을 막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