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현실로 다가온 '인구절벽' 과학기술로 극복…국방AI센터 문 열었다

중앙일보

입력

국방부가 국방인공지능(AI)센터를 출범시키며 과학기술 강군으로 나아가기 위한 체질 개선을 본격화한다. '인구절벽' 시대에 진입해 매년 병력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병력 운용의 효율성을 꾀하겠다는 취지로도 읽힌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이 지난 1월 12일 국방과학연구소를 방문해 인공지능(AI) 기반 유무인복합체계 개발현황을 보고 받고 있다. 국방부

신원식 국방부 장관이 지난 1월 12일 국방과학연구소를 방문해 인공지능(AI) 기반 유무인복합체계 개발현황을 보고 받고 있다. 국방부

국방부는 1일 신원식 장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각 군 참모차장 등 유관기관 관계자 약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국방AI센터 창설식을 열었다. 윤석열 정부는 과학기술 강군 육성을 위한 정책지원과 기술개발을 전담하는 조직이 필요하다고 보고 국정과제 및 '국방혁신 4.0' 과제 중 하나로 국방AI센터 창설을 추진해왔다.

국방부에 따르면 해당 센터는 기존 ADD 내 AI 자율기술 센터가 '원(院)'급으로 보강·확대돼 출범했다. 곽기호 ADD 국방첨단과학기술연구원장이 초대 센터장을 맡아 민간 연구원 약 100명과 현역 군인 약 10명 등 모두 110여명의 구성원을 이끈다. 군사 전문성을 갖춘 현역 군인이 민간 전문가들을 지원하는 형식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2012년부터 미국, 호주 등 관계 기관과 AI 자율연구 기술을 수행해 온 곽 센터장은 수준급 AI 전문가"라며 "국방 분야에 대한 이해도 역시 높아 선발했다"고 말했다.

1일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출범한 국방AI센터. 국방부

1일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출범한 국방AI센터. 국방부

국방AI센터는 ▶AI 기반 유무인 복합체계·전장상황인식 등 AI 관련 핵심기술 개발 ▶군 AI 소요기획 지원 및 기술 기획 ▶민간 AI 기술의 군 적용을 위한 산·학·연 협업 강화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군 당국자는 "AI를 국방 분야에 신속하게 접목하기 위해선 민간, 대학 등과 협업이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국방부가 주도권을 잡고 효율적으로 이들 과제를 진행하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신원식 장관과 이종호 장관은 이날 '국방과학기술 분야의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도 체결한다. 그동안 개별 분야별로 이뤄진 양 부처 간 협력 체계를 보다 전략적으로 꾸려간다는 차원에서 일종의 '협력 제도화'에 나선 것이다. MOU에는 ▶민·군 기술협력을 위한 연구개발·실증추진 ▶대학·정부 출연연구기관 등의 연구개발 성과 검증을 위한 민·군 인프라 상호 활용 ▶과학기술·디지털 인재 양성·활용 ▶국방부-과기정통부 간 인사교류 및 교육 협력 등이 담겼다. 장관급 '미래 국방과학기술 정책협의회'와 주요 분야별 실무협의회도 구성·운영된다.

경기 연천 한 전방사단에서 시범운영이 준비 중인 AI 경계센터(가칭) 내부 모습. 비디오 월 앞 3개 좌석은 현재 1개 중대가 책임지는 3㎞씩의 경계 구간을 각각 맡는다. 비디오 월과 좌석 사이에는 영상분석서버 등 AI 장치가 놓여있다. 국방부.

경기 연천 한 전방사단에서 시범운영이 준비 중인 AI 경계센터(가칭) 내부 모습. 비디오 월 앞 3개 좌석은 현재 1개 중대가 책임지는 3㎞씩의 경계 구간을 각각 맡는다. 비디오 월과 좌석 사이에는 영상분석서버 등 AI 장치가 놓여있다. 국방부.

군 당국이 이처럼 AI 도입에 공을 들이는 배경에는 미래전장의 첨단화뿐 아니라 병력 부족 현상도 대비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한몫했다. 국방부는 2035년까지 상비병력 50만 명 수준을 간신히 유지할 수 있지만, 이후 2차 인구절벽이 찾아오면 병역자원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입영 대상이 되는 병역자원은 2020년 33만 4000여명이었는데, 2035년 22만 7000여명까지 줄어들 전망이고, 2041년부터는 약 13만 명으로 급감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는 일반전초(GOP) 경계에 AI의 능력을 빌리는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등 관련 기술이 2030년대에는 군에서 안정적으로 운용돼야 한다는 의미다. 이밖에 개인 맞춤형 군복 제작 같은 장병 근무환경 개선, 지휘관의 지휘결심을 지원할 수 있는 지휘통제체계 발전 등에 AI가 활용될 것으로 국방부는 내다봤다.

신원식 장관은 "급변하는 미래 안보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역량 결집이 필요하다"며 "민·군 기술협력을 통해 '정예 선진 강군' 건설과 국가 경제성장의 선순환이 이뤄지도록 과기정통부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