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치솟는 연체율에 금감원, 저축은행·새마을금고 현장검사 나선다

중앙일보

입력

금융감독원이 최근 연체율이 치솟고 있는 새마을금고와 저축은행에 대한 점검에 나선다. 31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4월8일부터 약 2주간 예금보험공사와 새마을금고중앙회와 함께 공동 현장 검사에 들어간다.

새마을금고. 연합뉴스

새마을금고. 연합뉴스

사실 금감원은 행정안전부 관할인 새마을금고에 대한 검사 권한이 없다. 새마을금고중앙회가 검사에 나서면, 이를 도울 인력 정도만 파견해줬다. 하지만 행안부가 금융사인 새마을금고 관리에 전문성이 없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지난달 금융위와 ‘새마을금고 건전성 감독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 협약에 따라 앞으로 새마을금고 검사에 금감원·예보·새마음금고중앙회가 협약체를 구성해 공동 검사를 진행할 수 있게 됐다. 이번 검사는 이 협약에 따른 첫 공동 검사다.

금감원이 새마을금고 검사에 나서는 이유는 최근 연체율이 다시 치솟고 있어서다. 지난해 말 새마을금고 전체 연체율은 평균 5.07%였다. 하지만 지난달 이 연체율이 7%대까지 다시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건전성 우려가 커졌다.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오르기 시작한 것은 고금리와 부동산을 중심으로 한 경기 침체 우려 때문이다.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또 이와 유사한 관리형토지신탁이나 공동 대출 부실화가 최근 더 심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사정은 같은 제2금융권인 저축은행도 유사하다. 31일 금감원에 제출된 79개 저축은행 결산 경영공시에 따르면 전체 저축은행은 지난해 총 555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저축은행이 적자를 본 것은 지난 2011년 대규모 영업정지 사태로 2013년 회계연도(2013년 7월~2014년 6월)에 5089억원 손실을 기록한 이후 9년 만에 처음이다.

저축은행 무더기 적자는 부동산 PF 관련 손실 가능성이 커지면서 금융당국 압박에 충당금을 대거 쌓은 것이 결정적 배경이 됐다. 특히 79개 저축은행 중 절반이 넘는 41곳이 지난해 순손실을 기록했고 이 중 부동산 PF 연체율이 30%를 넘어선 곳도 있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유동성과 건전성 지표가 아직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지만, 공·경매를 통해 부실 자산은 빠르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도 최근 부동산 PF 등 부실 자산을 효율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6개월 이상 연체채권에 대한 3개월 단위 경·공매 실시 ▶실질 담보가치·매각 가능성·직전 공매 회차 최저 입찰 가격을 고려한 적정 공매가 산정 등을 표준규정에 반영했다.

금감원은 올해 1분기 저축은행 연체율이 집계되면 새마을금고와 마찬가지로 별도 현장검사를 통해 위기 가능성을 점검할 계획이다. 또 이와 별도로 금감원은 제2금융권 부실 불안으로 과거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처럼 예금 대량인출(뱅크런)이 발생하는 상황을 막기 위해 실시간 시스템을 구축 가동 중이다. 해당 시스템은 예수금 변동이 임계치를 넘으면 금융당국 담당자에게 실시간으로 경보 알림이 간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