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올해부터 3년간 ‘태양폭풍’…한미, 태양극대기 대비 공조체계 구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올해부터 2026년까지는 태양활동이 가장 활발한 ‘태양활동 극대기’다. 이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한국과 미국이 힘을 합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과 미국 상무부 소속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17일 태양활동으로 인한 우주전파재난에 대비, 한·미 간 태양폭풍 감시 역량에 관한 전략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협정서를 체결했다.

태양활동으로 인한 우주전파재난은 태양 흑점이 폭발할 때 발생한다. 이로 인해 방송·통신 장애, 위성 오작동, GPS 수신 장애 등과 같은 첨단 서비스들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활동에 대한 면밀한 감시와 정확한 우주전파 예·경보가 필요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특히 올해부터 시작된 태양활동 극대기엔 더욱 신중한 대비가 있어야 한다" 며 "이번 협정서를 통해 태양폭풍 감시 역량을 강화하기로 결정했다"고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세계 최고의 태양 감시 위성과 우주전파 환경 예보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NOAA의 'SWFO-L1' 위성은 이를 위한 핵심 장비다. 2025년쯤 발사 예정인 SWFO-L1 위성은 태양에서 방출된 양성자, 전자, 코로나물질방출(CME) 등의 현상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이러한 물질들이 지구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패연구원은 SWFO-L1 위성이 수집한 자료를 국내에서 직접 처리하고 공유하기 위해 제주도에 위성 수신국을 구축할 계획이다. 전파연구원과 NOAA의 협정체결은 지난 2009년 이후 다섯번째다.

서성일 국립전파연구원장은 "이번 협정서는 우리나라의 우주전파환경 예‧경보 기술력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태양활동 관측 분야에서 국제적인 위상을 높이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올해부터 시작된 태양활동 극대기에 따른 전파이용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구글의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중앙일보가 만든 AI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작성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