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태영 고비 넘겼지만 2금융권 불안…건설업 연체율 5.5%로 역대 최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재건축 안전진단 조건이 완화됐지만 부동산 경기가 가라앉아 재건축이 활성화될지 미지수다. 15일 서울시 노원구의 한 아파트에 예비 안전진단 통과 플래카드가 붙어 있다. [뉴스1]

재건축 안전진단 조건이 완화됐지만 부동산 경기가 가라앉아 재건축이 활성화될지 미지수다. 15일 서울시 노원구의 한 아파트에 예비 안전진단 통과 플래카드가 붙어 있다. [뉴스1]

태영건설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개시로 고비는 넘겼지만, 건설·부동산 전반의 금융 불안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고금리·경기 부진이 겹친 두 업종의 대출 연체율 등 부실 지표가 2금융권을 중심으로 최근 몇 년 사이 가장 좋지 않다.

15일 한국은행이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전체 금융권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잔액은 608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580조8000억원) 대비 4.8% 늘어나면서 2015년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최근 2년 새 비은행권(저축은행·보험사 등 합산)의 부동산업 대출 잔액은 24.9% 늘었다.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또한 지난해 3분기 비은행권의 건설·부동산업 기업대출 연체율은 각각 5.51%, 3.99%로 집계됐다. 2015년 집계 시작 이후 가장 높다. 전년 동기(건설업 1.77%, 부동산업 1.55%)와 비교해 3배 안팎으로 뛰었다. 그만큼 대출 상환이 밀리는 기업이 많아졌다는 의미다. 상대적으로 부동산 익스포저(위험 노출액)가 적은 은행권도 연체율이 올라가는 추세다.

대출 연체 3개월 이상으로 회수에 문제가 생긴 ‘고정이하여신’(NPL) 비율도 크게 올랐다. 지난해 3분기 저축은행의 경우 건설업이 7.34%, 부동산업이 5.97%에 달했다. 1년 전보다 각각 3.3배, 2.4배로 높아졌다. 건설업은 약 6년, 부동산업은 5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의 구조조정에 가속을 붙여야 한다”며 “업계가 금리 인하 가능성만 믿고 부실 사업 옥석 가리기를 미루면 태영건설 이상의 문제가 터질 수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