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세종보에 물 채워 배 띄운다 …금강·영산강 5곳 5월 재가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세종시에 위치한 금강 세종보 전경. 프리랜서 김성태

세종시에 위치한 금강 세종보 전경. 프리랜서 김성태

6년 동안 열린 세종보 수문, 5월 담수 

세종보(洑)가 수문을 연 지 6년 만에 정상화한다. 고장 난 가동보를 세워 강물을 채우고, 보 앞을 가로막은 퇴적토와 수목을 걷어내 담수량을 늘린다. 문재인 정부 때 해체와 상시개방 결정으로 존폐 갈림길에 섰던 4대강 다른 보도, 수위를 높이는 등 탄력적으로 가동할 예정이다.

11일 환경부에 따르면 금강에 설치된 세종보·공주보·백제보 수문 정비와 소수력발전 설비 점검을 서둘러 마무리하고 오는 5월 정상 가동한다. 영산강 승촌보·죽산보는 수위를 높인다. 이전보다 한계 수위를 1.5~2m 더 높인다. 수위를 높이면 보 담수량과 비례해 지하수량이 증가해 주변 농민에게 도움이 된다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올해 정상화하는 금강·영산강 보 5개는 2021년 1월 국가물관리위원회가 ‘완전·부분 해체와 상시 개방’하기로 했다. 이 결정에 앞서 환경·생태 복원을 이유로 수문을 개방한 기간까지 고려하면 이들 보는 2년~6년 동안 담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감사원이 지난해 7월 “금강·영산강 보 해체·개방 결정이 비과학적으로 이뤄졌다”는 취지로 감사결과를 내놓으면서, 보 활용에 속도를 내고 있다.

충남 공주에 위치한 금강 공주보 전경 모습. 프리랜서 김성태

충남 공주에 위치한 금강 공주보 전경 모습. 프리랜서 김성태

금강 명소화 탄력…보트·수륙양용 카트 운행 

이 가운데 도심에 있는 세종보는 고정보(125m)와 가동보(223m)가 설치된 다기능 보다. 2018년 가동보 3개를 연 뒤 줄곧 개방했다. 환경부는 30억원을 들여 가동보를 고치고 있다. 유압 실린더와 배관 등 손상된 설비를 보수하거나 교체한다. 환경부 물관리총괄과 정혜윤 서기관은 “오랫동안 눕혀졌던 가동보를 세워서 물을 가둘 수 있게 정비하고 있다”며 “3월까지 수문 수리를 마치고, 4월 시운전, 5월 정상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보에 달린 소수력발전소도 다음 달 분해·점검 등 정비를 한 다음 5월 말 가동한다. 이 발전소는 연간 7700여 명이 사용할 수 있는 9300㎿h(메가와트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세종시는 2월 말까지 보 상류 500m, 하류 300m 구간에서 수목을 정비하고 임목 폐기물 292t을 처리한다. 강물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 섬처럼 쌓인 토사를 평탄화하는 작업도 병행한다.

세종보에 물을 가두면 현재 8.6m인 수위가 11.8m까지 상승한다. 세종시는 보 담수를 계기로 금강 일원을 명소화하는 사업을 본격화한다. 이응다리 양편에 있는 선착장 2곳을 활용해 도선(渡船)을 운항하거나, 수상 레저용 보트를 띄울 계획이다. 금강~중앙공원~수목원을 왕복하는 수륙양용 카트 운행도 고려하고 있다. 윤봉진 세종시 물관리과장은 “물을 가둬놓으면 나무가 썩기 때문에 수질악화에 대비해 정비 공사를 하겠다”고 말했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지난해 11월 29일 세종시 대평동에 있는 금강 세종보를 찾아 정상화를 위한 정비 계획 등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지난해 11월 29일 세종시 대평동에 있는 금강 세종보를 찾아 정상화를 위한 정비 계획 등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공주보·백제보 수력발전 재개…수위 1.4~5m 상승

공주보와 백제보에 있는 소수력발전도 재개한다. 수력발전시설 앞에 쌓인 토사를 제거한 뒤 발전 장비 분해, 안전점검 등을 거쳐 5월께 발전소를 가동한다. 수문 활용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종보를 제외한 나머지 보 4곳은 지역 축제 개최나 갈수기에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한시적으로 물을 채웠다.

2022년까지 보에 물을 가득 채우는 관리 수위보다 1.4~5m 낮은 고정 수위를 유지했다. 담수량이 적다 보니 보 주변 지하수를 사용하는 수막 재배시설 농가가 가뭄 시기 어려움을 겪었다. 탄력운영 수위는 보 기능을 최대로 높이는 관리수위를 한계로 정했다. 탄력운영 수위는 공주보가 3.7~8.75m, 백제보 2.8~4.2m, 승촌보 5.5~7.5m, 죽산보 1.5~3.5m다. 박병언 환경부 물관리총괄과장은 “이수(利水)와 치수(治水), 환경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4대강 보를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