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길 따라 피어난 문명…中 ‘어머니의 강’ 황하가 일으킨 도시는?
치수(治水). 한자 뜻 그대로 해석하면 '물을 다스린다'는 뜻이다. 하나라의 우(禹)왕은 왕위에 오르기 전 치수를 담당하던 관리였다. 그는 당시 범람이 잦았던 황하의 물길을 잘
-
비키니 환초 핵실험 20년 뒤에도…거북이 등딱지에 남은 흔적
1952년 태평양 에네웨탁 환초에서 실시한 첫 수소폭탄 시험 당시에 피어오른 버섯구름. 로이터=연합뉴스 1940~50년대 미국 네바다 사막이나 태평양 산호초 섬에서 실시했던 핵
-
4만6000년 만에 꿈틀…시베리아 묻혔던 벌레, 번식 시작했다
4만6000년 전 시베리아 동토에 묻힌 벌레. 사진 MAX-PLANCK-GESELLSCHAFT 홈페이지 캡처 매머드와 지구상에 공존했던 석기시대 벌레가 시베리아 언 땅에 갇혔다
-
[단독]"세종보 자칫 기름관 터진다"…文 5년 방치에 재가동 난관
문재인 정부 당시 해체 수순을 밟으면서 5년간 방치된 금강 세종보. 프리랜서 김성태 ━ "세종보 개방 4년 만에 존치 결정" 세종시 금강에 만든 세종보(洑)가 정부의 보
-
범람한 미호천교 부근, 강폭 넓히기 공사 중단만 안했어도…
14명이 목숨을 잃은 충북 청주시 궁평2지하차도 침수 참사는 인근 미호강의 범람 탓에 발생했다. 그런데 범람을 우려해 추진됐던 미호강 강폭 넓히기 등 하천정비사업이 다리 건설과
-
"미호강 폭 넓히다 스톱"…다리 건설에 밀렸다, 안타까운 3년 전
지난 16일 충북 청주 오송 궁평 2지하차도 침수 사고현장에서 소방과 경찰, 군이 합동으로 구조작업을 펼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 미호천교 부근 '병목 현상' 발생 지점
-
3년마다 물넘친 미호강…물그릇 키우는 '준설 예산' 없었다, 왜
지난 15일 오전 폭우로 유실된 청주 미호강 미호천교 아래의 제방. 이 제방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미호천교를 건설하면서 기존의 제방을 헐어 공사차량 등의 통로로 사용하다 장마
-
나노플라스틱이 녹조를 만나면…독소 운반체 역할로 인체 악영향
조류경보 '관심'단계가 발령된 지난달 22일 오후 대구 달성군 강정고령보 상공에서 바라본 낙동강이 녹조로 인해 짙은 녹색을 띠고 있다. 남세균 녹조 때 생성되는 마이크로시스틴 독
-
40년간 오락가락했다…다시 주목받는 수질기준 COD의 과거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직원이 지난해 6월 20일 낙동강 강정고령보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지방환경청 제공] COD의 기구한 운명을 살펴보려 합니다.
-
‘인류세’ 대표지층, 캐나다 크로퍼드 호수 뽑혔다
인류세의 대표 표본지로 선정된 캐나다 온타리오주 밀턴 인근에 있는 크로퍼드 호수 보존 지역. ‘인류가 그동안 지구 행성에 무슨 짓을 했는지 땅은 모두 알고 있다’는 개념의 ‘인류
-
인간이 바꾼 지질시대 담긴 캐나다 호수…'인류세' 표본지로 선정
지난 4월 12일 캐나다 온타리오주 밀턴 인근 크로포드 호수 보존 지역에서 연구진이 호수 바닥의 퇴적층 샘플을 수집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과학자들이 인류가 지구 환경을
-
"日오염수 방류 때 '해저 펄' 뒤섞일 가능성 있는지, 검토 필요"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안에 보관돼있는 오염수 탱크. [연합뉴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상 방류가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오염수 방류가 해저 퇴적토(펄)를 교란할
-
“개방이후 점검도 제대로 못했다” 5년간 방치된 세종보
세종시 금강에 만든 세종보는 문재인 정부 때인 2018년 4월 가동보 3개를 완전 개방한 이후 5년 넘게 실린더 등 내부 시설 안전점검이 이뤄지지 않았다. 프리랜서 김성태 지난
-
[단독] "5년간 점검도 제대로 못했다"…文때 개방, 방치된 세종보
문재인 정부 당시 해체 수순을 밟으면서 5년 넘게 방치된 4대강 금강 세종보. 프리랜서 김성태 ━ 가동보 눕혀진 채 방치…"내부 시설 확인 어려워" 지난 21일 세종시
-
독극성 핵종 많은데 분석 안해…방출보다 합리적 방법 찾아야 [한·일 정상회담 그 후]
━ SPECIAL REPORT - 후쿠시마 오염수 안전한가 일본 후쿠시마현 오쿠마 마을 발전소에 방사능 오염수를 담은 탱크가 저장돼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그래픽=남미
-
‘삼국시대부터 살았다’ 순천만서 신종 식물플랑크톤 발견
기페니아 코리아나의 다양한 형태. 환경부=연합뉴스 전 세계에 1종만 보고된 식물플랑크톤 분류군인 기페니아(Giffenia)속 신종이 한국에서 발견됐다. 27일 환경부 국립
-
바다 없는 '노잼 도시' 청주의 반격…3300억 '강수욕장' 만든다
2020년 3월 주말을 맞아 충북 청주 무심천 벚꽃 군락지에 시민들이 찾아 꽃 구경을 하고 있다. 뉴스1 ━ 무심천 활용 강수욕장·야생화·튤립 정원 조성 충북 청주시가
-
고농도 방사성 핵종에 노출되면 해양 미생물 군집 구조도 바뀐다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전경. 오염수가 담긴 탱크가 늘어서 있다. 연합뉴스 [주한일본대사관 제공] 고농도 방사성 물질이 방류되면 바닷물과 해저 퇴적토의 미생물 구성이 달라지고,
-
역사상 가장 충격적인 발견?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 비밀 유료 전용
토성의 작은 위성 ‘엔셀라두스(Enceladus)’라고 들어보셨나요? 요새 우주 과학자들이 주목하는 ‘핫한’ 천체 중 하나입니다. 생명체를 발견할 가능성이 어디보다 큰 곳으로 추
-
RFA “북한, 평산 우라늄 공장 확장 공사중…핵물질 생산 증강 조치”
2022년 8월 28일에 촬영한 위성사진에 따르면 황해북도 평산 우라늄정련공장 폐광 침전지가 녹조현상을 보이면서 포화상태에 이르렀고, 오른쪽에서 침전지 추가 건설을 위한 기초공사
-
바다 밑바닥 가라앉는 미세플라스틱 40년 사이에 10배로 늘었다
해양 미세플라스틱. AP=연합뉴스 바다 아래로 가라앉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이 지난 40여 년 사이에 10배 가까이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페인 바르셀로나 자유대학(U
-
오염된 호수 수위 낮추니, 수질 좋아졌다…4대 강도 적용 가능
한국수자원공사 대청지사 직원과 인근 주민들이 지난 2020년 10월 충북 옥천군 군북면 대청호 일대에서 녹조 제거 작업을 하고 있다. 뉴스1 수심이 얕고 부(富)영양화된 호수에서
-
독소 만드는 마이크로시스티스…온난화에 남세균 우점종됐다
지난해 7월 녹조가 뒤덮인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추소리 인근 대청호에서 조류제거선을 탄 K-WATER(한국수자원공사) 대청댐지사 관계자들이 녹조제거 작업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
-
“강이 아프면 사람도 아프다” 치매 유발 물질 검출... 낙동강의 복수
낙동강 유역과 부산 다대포해수욕장에서 심각한 뇌 질환을 일으키는 녹조 신경독소가 검출됐다는 환경단체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 환경운동연합, 낙동강네트워크, 대한하천학회와 더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