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호텔서 들린 "도와달라, 살인자"…DJ 납치 그날, 日자료 공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대중 납치 사건’에 대한 일본 경찰의 수사 기록 일부가 공개됐다. 수사 기록엔 납치 실행범 중 한명으로 주일 한국대사관 일등서기관이 지목된 경위, 김대중 전 대통령이 실제 일본 경찰에 했던 진술 등이 기록됐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25일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일본 경시청으로부터 받은 총 13쪽 분량의 김대중 납치사건 기록을 온라인 유료 기사로 보도했다.

김대중 납치사건에 대한 정보공개 청구 내용을 25일 보도한 아사히 신문. 아사히신문 화면 캡처

김대중 납치사건에 대한 정보공개 청구 내용을 25일 보도한 아사히 신문. 아사히신문 화면 캡처

김대중 납치사건은 1973년 8월 8일 오후 1시경 일본 도쿄 그랜드 팰리스호텔 2210호실에서 발생했다. 당시 반(反) 박정희 운동을 벌이던 김대중 전 대통령은 일본 지부 조직을 위해 일본을 방문한 상태였다.

납치됐던 김 전 대통령은 5일 뒤인 8월 13일서울 동교동 자택 인근에 풀려났고, 이후 납치사건에 대한 수사는 한·일간 외교 문제로 비화했다. 104명 규모의 대규모 수사본부를 설치했던 일본 경찰이 수사에서 범인 중 한명으로 당시 김동운 일등 서기관을 지목하면서다. 일본 경찰은 김 서기관에 대한 조사 요청을 했지만 한국 측이 응하지 않자 일본에선 이 납치사건이 주권을 침해했다는 목소리가 일었다.

“도와달라”는 목소리

아사히에 일본 경시청이 제공한 자료는 1998년 2월 2일 자로 작성된 문건이다. 김대중 대통령의 취임 직전 작성됐던 이 자료의 제목은 '김대중 납치사건 관계(수사상황)'였다. 경시청 외사과 사건담당이 작성한 이 문건 일부에는 검은색이 칠해져 있는 상태다.

아사히는 “이번 정보공개 청구로 처음 공개된 부분”으로 호텔 투숙객 증언을 소개했다. 사건 당일, 호텔 투숙객은 “호텔 3층에서 위에서부터 내려온 엘리베이터를 두 명이 탔는데, 엘리베이터 안에서 1명의 남성이 “도와달라. 살인자”라며 도움을 요청했다”고 증언했다. 경찰이 제시한 사진을 보고는 5명의 일행 중 김 서기관이 있다는 취지 증언도 있었다. 납치 현장에 남겨져있던 배낭에 대해서도 일본 경찰은 판매처를 확인했다. 판매처에선 범행 이틀 전 2명의 남성에게 3개 배낭을 팔았던 사실을 확인했고, 사진으로도 배낭을 샀던 2명 중 1명이 김 서기관을 닮았다는 증언도 확보했다.

1973년 8월14일 김대중 전 신민당 총재가 동교동 자택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중앙포토

1973년 8월14일 김대중 전 신민당 총재가 동교동 자택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중앙포토

납치 뒤 출국 루트에 대해서도 수사가 이뤄졌다. 일본 경찰은 간사이 지역의 아지트에 대한 수사도 했는데, 공개된 기록엔 한국서 전달된 김 전 대통령 진술이 실렸다. “고속도로에서 길을 물어본 뒤 1시간 정도 달려 ‘안의 집(アンの家)’에 가자고 했다. 마루 거실 지나 다다미방으로 끌려갔다”는 내용이었다. 이 진술을 근거로 조사했던 일본 경찰은 ‘안씨 성 및 엘리베이터가 딸린 맨션(아파트)을 수사했지만 특정하지 못했다”고 적었다.

김 서기관과 관련된 소환 문건엔 1973년 9월4일 경시청이 외무성 아시아 국장에게 보낸 의뢰서가 첨부됐다. 무기한 비밀(極秘) 문건으로 일본 경찰이 김 서기관을 직접 조사하고 싶다는 취지 내용이다. 아사히는 “비밀, 극비가 적힌 문건은 해제된 것이 아니라, 지금도 비밀로 등록되어 있지만, 과거의 공개청구로 일부를 공개해왔다”는 경시청 설명을 전했다.

경시청은 이번 정보공개에 대해서 “지금까지 국회 답변이나 이후 정밀 조사 결과 등을 근거로 공개 부분을 늘렸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2007년 10월 국가정보원 진실규명위원회는 납치 사건이 중앙정보부 요원 등 20여 명이 연루된 조직적 범행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