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시 땡큐”...연대 반도체 클린룸 확장, 홍대 캠퍼스 복합개발

중앙일보

입력

홍익대 혁신성장 캠퍼스 기본구상안. 현대미술관과 아트센터, 첨단공학센터를 연결한다. [사진 서울시]

홍익대 혁신성장 캠퍼스 기본구상안. 현대미술관과 아트센터, 첨단공학센터를 연결한다. [사진 서울시]

연세대는 높이 제한(7층) 적용 대상이던 제5공학관을 12층까지 올리기로 했다. 이곳에 반도체 클린룸 공간이 1.5배 늘어나고 연구실험실도 추가로 확보했다.

고려대도 '정운오IT교양관'을 증축해 연면적 5600㎡를 추가로 확보했다. 반도체공학과·스마트모빌리티 학부가 이 공간을 사용할 예정이다. 연세대·고려대 증축 계획은 최근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했고, 연말 전에 결정 고시된다. 이들 대학이 건물 증축 등을 통해 공간을 넓힌 것은 지난해 서울시가 대학 신산업·창의 공간에 대해 용적률·높이 제한을 풀어줬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올해 서울지역 대학이 신산업 관련 학과 증설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돕기 위해 용적률을 1.2배(200%→240%)까지 완화했다. 또 자연경관지구 대학시설 높이 제한(7층·28m)을 풀었다. 이후 각 대학은 새로운 공간 확보에 나섰다. 서울 주요 8개 사립대 총장 등 80여명은 지난 13일 홍익대에서 대학 공간 혁신 사례 성과를 공유했다.

서울시 ‘캠퍼스 공간혁신’ 사업 성과 발표

서울시 규제 완화를 통해 고려대가 증축을 추진 중인 정운오IT교양관. [사진 서울시]

서울시 규제 완화를 통해 고려대가 증축을 추진 중인 정운오IT교양관. [사진 서울시]

이 가운데 중앙대·서강대·성균관대는 건물을 신축한다. 중앙대는 중앙도서관 옆에 건물을 새로 지어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 학과와 반도체학과 등을 배정한다. 서강대는 학생창의연구관·신과학관 건립계획을 수립 중이며, 성균관대는 빅데이터·AI 연구 시설이 들어설 허브스퀘어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세종대는 애지헌 건립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고, 이화여대는 생환환경관 신축을 위한 설계용역을 공고한 상태다. 홍익대는 혁신성장구역을 적용한 캠퍼스 복합개발 국제현상설계 공모를 추진하고 있다.

“인서울 대학, 어차피 잘 나가는데” 지적도

서울시 대학 공간 혁신 정책의 일환으로 중앙대가 신축을 추진 중인 205관의 부분 조감도. [사진 서울시]

서울시 대학 공간 혁신 정책의 일환으로 중앙대가 신축을 추진 중인 205관의 부분 조감도. [사진 서울시]

규제 완화 혜택을 누린 대학은 서울시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예컨대 서울캠퍼스가 용적률 한도에 도달한 홍익대는 그간 캠퍼스 개발은 엄두도 못 냈다. 하지만 서울시 덕분에 현대미술관·아트센터·첨단공학센터 등 주요 캠퍼스 공간을 재구성할 수 있게 됐다. 홍익대는 현재 OMA(렘 콜하스 대표건축가)가 제시한 캠퍼스 설계안을 선정한 상황이다.

홍성태(상명대 총장) 서울총장포럼 회장은 “서울지역 대학은 공간 부족 문제가 심각해 국책과제를 수행하기 어려웠는데, 서울시 덕분에 건물 신·증축이 가능해졌다”며 “서울권 대학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일부 사립대학에 제한된 특혜라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에 있는 대학이 지방 대학보다 누리는 게 많은 데 또 혜택을 주는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이날 행사에서 사례로 거론한 8개 대학은 대부분 사립 명문대로 꼽힌다. 김은정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은 “서울 소재 대학은 이미 제한된 부지 안에 매우 많은 건물이 들어서 있는데, 이를 깊이 있게 살펴서 용적률 완화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험생이 이른바 ‘인서울’ 대학을 선호하는 상황에서 이와 같은 정책이 수도권 집중을 심화하고 국토 균형 발전을 저해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박인석 명지대 건축학부 교수는 “근본적으로 세심한 규제 완화 청사진이 부족하고, 서울 소재 대학이 너도나도 용적률·높이 규제 완화를 요구하면 이를 다 풀어 줄 거냐 하는 우려도 존재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