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애들 결혼비용만 1억"…4050세대 66%, 은퇴 후 자녀 돌보기 부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3일 서울 마포구청에서 열린 '2023 마포구 노인 일자리 박람회'에서 한 노인이 손 돋보기를 들고서 구직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13일 서울 마포구청에서 열린 '2023 마포구 노인 일자리 박람회'에서 한 노인이 손 돋보기를 들고서 구직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에 사는 윤모씨(42ㆍ남)는 내년 둘째 출산을 앞두고 커리어에 대한 고민이 커졌다. 두 자녀를 양육하려면 70대까지 일을 하거나 은퇴 후 안정적인 수입원을 마련해둬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이다. 윤씨는 “매월 50만원씩 연금저축을 하고 있지만 이건 부부의 노후 생활비로도 부족할 것 같다”며 “연금저축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이라도 더 늘면 좋겠다”고 말했다.

결혼과 출산이 늦어지면서 4050세대 10명 중 7명(66.6%)은 은퇴 후 자녀부양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4050세대가 예상하는 은퇴 후 자녀 1인당 교육비는 평균 7749만원, 결혼에 드는 비용은 1억444만원에 달한다. 은퇴 시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퇴직급여(평균 1억699만원)만으로는 충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은퇴 후 소득도 절반 이하로 줄어든다. 50대 이상 은퇴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3105만원(월 259만원)으로 같은 연령인 비은퇴가구 소득(연 6961만원, 월 580만원)의 45% 수준이었다. 이는 보험개발원이 전국의 30~75세 1300명 가구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김영옥 기자

김영옥 기자

보험개발원은 통계청 등 여러 기관의 통계 분석을 더해 ‘은퇴시장 리포트’를 발간했다. 특히 4050세대의 은퇴 준비현황을 집중 분석했는데 이들이 2029년부터 65세 이상 고령인구층에 진입하기 시작해 2039년부터는 고령인구의 절반 이상(52%)을 차지하는 핵심 연령대이기 때문이다.

은퇴 후 소득이 급감하는 구조다보니 고령자일수록 허리띠를 졸라맬 수밖에 없다. 60세 이상 전체 고령가구 평균 소비액은 연 2720만원(월 227만원)이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소비액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소비지출 항목을 분석해보니 의료비(60대 9.3%→80세 이상 19%)와 주거비(60대 13.3%→80세 이상 19.2%) 비중은 나이들수록 늘었다. 한국의 1인당 민간의료비 지출은 1329달러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966달러)의 1.38배 수준이다.

문제는 부족한 노후소득을 보전할 대책이 미비하다는 점이다.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월평균 소득 대비 연금액 수준)을 40% 수준으로 끌어 올리려면 40년 간 꾸준히 보험료를 납입해야 한다. 지난해 기준 국민연금 수급자 434만명의 평균 소득대체율은 22%에 불과하다. 은퇴 전 월급이 100만원이었다면 연금은 22만원 수준이라는 얘기다. 2021년 기준 총 연금(국민연금+퇴직연금)의 소득대체율 역시 31.2%로 OECD 평균(57.6%)에 훨씬 못 미친다. 하지만 4050세대의 노후준비 방법 1순위는 공적연금(69%)이고, 사적연금을 활용하고 있다는 응답은 8%에 그쳤다.

보험개발원은 “공적연금만으로는 노후준비가 충분하지 못한 만큼 연금저축ㆍ저축성 보험 등 다양한 노후 소득원천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며 “개인연금 세제혜택 강화를 검토하는 등 가입유인을 확대해 안정적인 은퇴 및 노후 대비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올해 연금저축의 세액공제 한도가 400만원에서 600만원으로 확대됐고 세액공제율은 연봉 5500만원 초과일 경우 13.2%, 이하일 경우 16.5%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