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IMF "韓물가 내년말에나 떨어져…상당기간 고금리 유지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추경호 경제부총리(오른쪽)가 지난 9월 정부서울청사에서 IMF 연례협의 대표단과 화상 면담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추경호 경제부총리(오른쪽)가 지난 9월 정부서울청사에서 IMF 연례협의 대표단과 화상 면담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1997년 외환위기 당시 혹독한 구조조정을 강요한 주인공이 국제통화기금(IMF)이다. 그래서 한국은 항상 IMF의 경고를 무겁게 받아들인다. IMF가 한국의 고삐 풀린 물가를 좀 더 비관적으로 내다봤다. 해법으로 “상당 기간 고금리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IMF는 17일 펴낸 ‘2023년 한국 연례협의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한국의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3.6%로 전망했다. 지난 10월 ‘세계경제전망’을 통해 밝힌 물가상승률 전망치(3.4%)보다 0.2%포인트 올려 잡았다. 기획재정부(3.3%)나 한국은행(3.5%) 물가 전망치보다 높다.

물가는 지난해 7월(6.3%) 정점을 찍은 뒤 내림세를 탔다. 올해 들어서도 1월(5.2%)→4월(3.7%)→7월(2.3%) 줄곧 떨어졌다. 하지만 8월(3.4%)부터 반등하더니 석 달 연속 3%대다. 지난달엔 3.8%까지 올랐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2일 “11월에 3.5∼3.6% 안팎의 물가 상승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IMF는 내년 물가 상승률도 2.4%로 한 달 전 전망치(2.3%)보다 0.1%포인트 상향했다. 내년 말에야 한국은행의 물가 안정 목표치(2%)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IMF는 “물가가 여전히 목표보다 높다”며 “에너지·식품 수입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 임금 인플레이션으로 물가 상승률이 목표치에 수렴하는 것이 지연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IMF뿐 아니라 다른 국내외 기관도 고물가가 예상보다 길어진다고 보는 추세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9일 올해와 내년 물가 전망치를 각각 3.6%와 2.6%로 내다봤다. 지난 8월보다 0.1%포인트씩 상향 조정했다. 씨티·JP모건·HSBC 등 8개 주요 투자은행(IB)도 지난달 말 펴낸 보고서에서 한국의 내년 물가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2.4%로 올려잡았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의 정책 목표가 금융시장과 부동산 경기 안정화에 맞춰져 있다 보니 물가 안정이 더딘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물가 체감도가 높은 28개 품목의 가격을 매일 점검하는 등 총력전에 나섰다. 김병환 기재부 1차관은 이날 비상경제차관회의 겸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며 “제품 가격을 유지하되 용량을 줄이거나 품질을 떨어뜨리는 일명 ‘슈링크플레이션(shrink+inflation)’ 현상을 막기 위해 11월 말까지 생필품 가격 실태조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IMF는 고물가를 해결하기 위해 고금리(기준금리 3.5%) 기조를 흔들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IMF는 “현재 고금리 기조를 상당 기간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섣부른 통화정책 완화를 지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소한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를 내려선 안 된다는 취지다.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감을 눌렀다.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1.4%로 전망했다. 지난해 10월 내놓았던 예상치를 유지했다. 기재부 전망치와 같다. 올해 하반기부터 반도체 수출 개선, 관광산업 회복 등에 힘입어 점진적으로 반등할 것으로 예측했다. 성장세가 이어져 2024년에는 2.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정부 전망치(2.4%)보다 0.2%포인트 낮았다.

불어난 가계 부채 문제에도 주목했다. IMF는 “가계·기업의 높은 부채와 비(非)은행 금융기관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 잠재적인 불안 요인이 있지만,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해법으로 “취약한 가계·기업에 한시적·선별적으로 금융을 지원하고, 비은행 금융기관을 모니터링하고 건전성을 규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