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여름·겨울 오간 한국의 11월…북극 온난화가 이렇게 무섭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온이 영하로 떨어진 11일 강원 평창군 용평스키장이 이번 가을 들어 처음으로 인공눈을 뿌리며 개장 준비에 나서고 있다.   사진 모나용평

기온이 영하로 떨어진 11일 강원 평창군 용평스키장이 이번 가을 들어 처음으로 인공눈을 뿌리며 개장 준비에 나서고 있다. 사진 모나용평

최근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전국에 영하권의 강추위가 이어지고 있다. 11월 초에 초여름 더위를 겪다가 일주일 사이에 혹독한 겨울로 계절이 뒤바뀐 셈이다. 올겨울에도 이렇게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기온 양극화 현상이 과거보다 심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기상청에 따르면, 11일 서울의 아침 최저기온은 평년보다 7도 이상 낮은 -1.9도를 기록했다. 서울의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진 건 올가을 들어 처음이다. 바람까지 거세게 불면서 체감온도는 이보다 낮은 -4.4도까지 떨어졌다. 지난 주말인 4일에 기록한 아침 최저기온(14.1도)과 비교하면 일주일 만에 기온이 15도 이상 떨어진 것이다.

이렇게 기온이 급변한 건 시베리아 고기압이 확장하면서 한반도 북쪽에 쌓여 있던 강한 냉기가 유입됐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기록적인 고온 현상을 겪고 있던 한국 등 동아시아 지역이 순식간에 차갑게 얼어붙었다. 이달 초까지만 해도 한여름 날씨였던 중국 북부 지역도 갑작스럽게 한파가 닥치고 폭설이 쏟아지면서 휴교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북극의 온난화에 주목하는 이유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문제는 이런 극과 극 날씨 패턴이 겨울철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더위가 심해질 뿐 아니라 추위도 더 혹독해진 탓이다.

기후학자들이 특히 주목하는 건 북극의 온난화다. 북극의 온난화는 전지구 평균보다 4배가량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2000년대 이후 북극의 기온이 급격히 오르면서 해빙(海氷·바다 얼음)은 매년 무서운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북극 해빙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북극 해빙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북극의 온난화가 문제가 되는 건 한국을 비롯한 북반구의 겨울철 기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북극이 달궈질수록 극지방의 냉기를 가두는 제트기류가 뱀이 구불거리며 움직이는 것처럼 사행(蛇行)하면서 북반구 곳곳이 이상 한파에 시달린다.

김백민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교수는 “북극이 뜨거워지면서 남북의 온도 차이가 점점 줄어들어 제트기류가 약해지고 있다”며 “이로 인해 블로킹 현상(대기의 동서 흐름이 막히는 현상)이 강해지고 날씨가 정체되면서 찬 공기가 내려오는 지역에서는 굉장히 극단적인 추위가 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실제로 2020년에는 북극 해빙 면적이 10월 기준으로 역대 가장 작았을 정도로 북극에 이상고온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듬해 1월 제주에 역대 처음으로 한파경보가 발령되는 등 극심한 한파가 한반도를 덮쳤다. 지난해 12월에도 이른바 ‘북극 한파’로 불리는 혹독한 초겨울 추위를 겪었다. 북극이 더워질수록 한국은 추워지는 이른바 ‘온난화의 역설’이다.

관련기사

또 하나의 변수 ‘엘니뇨’

올해 역시 북극 해빙 면적이 평년보다 작은 상태여서 북극 한파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다만, 또 하나의 변수가 있다. 4년 만에 돌아온 ‘엘니뇨’다. 엘니뇨는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5도 높게 유지되는 기후 현상을 말한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올해 7∼8월부터 빠르게 발달한 엘니뇨가 11월부터 내년 1월 사이에 강도가 정점에 이를 가능성이 크다”며 “엘니뇨 현상이 일어나는 동안 육지와 해양 모두 온도가 급등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올해 전 세계는 엘니뇨와 기후변화가 맞물리면서 매달 기온 기록을 경신할 정도로 전례 없이 달궈진 상태다. 한국의 경우 엘니뇨가 발달한 해에는 초겨울에 고온다습한 남풍이 자주 유입되면서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북극의 온난화와 엘니뇨라는 두 변수가 맞물리면서 기온 널뛰기가 더 심해질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기상청은 최근 발표한 ‘3개월 기상 전망’에서 12~1월 평균기온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가능성에 무게를 뒀지만, 일시적으로 강한 한파가 발생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김주홍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북극 한기는 이미 우리나라 북쪽에 자리 잡고 있어서 조금만 힘을 받으면 언제든 내려올 수 있다”면서도 “엘니뇨가 발달기에 있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긴 추위가 올 거라고 말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