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美 기준금리 동결에도…국내 5대 은행 대출금리 더 오른다, 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연이은 기준금리 동결 조치에도 국내 대출금리의 고공행진은 이어질 전망이다.

 은행 대출금리 고공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 시내의 시중은행 ATM기기 모습. 뉴스1

은행 대출금리 고공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 시내의 시중은행 ATM기기 모습. 뉴스1

3일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4.58~7.18%로 집계됐다. 고정(혼합형) 금리는 연 4.39~6.37% 수준이다. 지난 9월만 해도 연 3%대였던 시중은행의 대출금리 하단이 4%로 올라선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금리 상단은 연 7%대를 넘어섰다.

긴축 장기화 여파가 이어지며 대출 금리 지표가 되는 코픽스(자금조달비용지수) 등이 오른 영향이다. 지난달 16일 발표된 9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연 3.82%로 전달(연 3.66%)보다 0.16%포인트 올랐다. 코픽스는 지난 5월 연 3.56%에서 6월 연 3.7%로 오른 뒤 2개월 연속 소폭 하락했지만 9월에 다시 올랐다. 고정금리의 기준이 되는 은행채 금리도 여전히 높다. 지난 2일 은행채 5년물(무보증‧AAA) 금리는 연 4.627%를 기록했다. 지난달 말 연 4.8%를 상회했던 지난달 말보다는 다소 낮아졌지만 연 4.2%대에 머물던 지난 8월과 견주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지난해 말 금융회사가 잇달아 내놓았던 고금리 예금의 만기가 도래하고 있다는 점도 대출금리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지난해 9월 말 이른바 레고랜드 사태 발생으로 채권 시장이 얼어붙자 금융회사들은 예금 수신 금리를 높이는 식으로 대응했다. 이때 유치했던 예금 만기가 돌아오자 급격한 자금 이탈을 막기 위해 금융회사들이 다시 금리 경쟁에 나선 모양새다. 예금 금리 상승은 대출 금리를 말아 올리는 역할을 한다.
정부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도 대출 금리를 올리고 있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지자 금융당국은 은행에 대한 대출 조절 압박에 나섰다. 이에 은행들은 대출 가산 금리를 올리는 방식으로 대출 수요를 조절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향후 시장 금리 추가 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2일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그동안 미국 국채 금리의 불안이 시중금리 상승압력으로 작용해 온 가운데 4분기 고금리 예금 만기 집중 등에 따른 자금 쏠림으로 금리 상승이 심화할 가능성도 있는 만큼 철저히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코픽스 금리 추이.

코픽스 금리 추이.

미국 국채 금리가 재차 반등할 수 있다는 점도 대출자들에겐 악재가 될 수 있다. 금리 인하 종료 전망에 미국 재무부의 국채 발행 속도 조절 방침 영향이 더해져 치솟았던 미국 국채금리는 최근 하락하는 모양새다. 한때 16년 만에 연 5%를 넘어섰던 미국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최근 연 4.6~4.7% 수준으로 내려갔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 국채 금리 하락으로 기대 인플레이션이 다시 높아질 수 있고, 이럴 경우 Fed 위원들이 고금리를 유도해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등의 발언을 할 수 있다”라며 “금리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라고 전망했다. 미국 국채금리는 세계 시장금리 지표금리 역할을 한다.

다만 윤석열 대통령의 잇따른 은행 비판 발언이 대출금리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윤 대통령이 최근 ‘종노릇’, ‘갑질’ 등 원색적인 표현을 쓰며 은행에 대한 비판을 쏟아내서다. 이에 은행들은 소상공인의 이자 부담을 줄여주는 등의 상생 방안을 준비하고 나섰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시장금리는 상향하는 모습이지만, 정치권에서 다시 은행에 상생을 요구하고 있는 만큼 대출금리 상승이 억제될 수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