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재점화된 문정부 소득통계 조작 논란…커지는 한은 책임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문재인 정부가 소득주도성장의 필요성을 내세우기 위해 ‘노동소득분배율’ 통계를 왜곡했다는 주장이 재조명되면서 통계 작성 주체인 한국은행의 책임론도 불거지고 있다.

통계청장 출신인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은 18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문 정부는 지난 20여년 간 상승추이였던 한은의 노동분배율과 다른 ‘하락추이의 노동분배율’을 주장했고, 이를 기반으로 엉터리 소득주도성장을 내세웠다”며 “한은이 통계작성기관으로서 지난 5년간 이 문제에 침묵한 건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

노동소득분배율이란 생산활동으로 생긴 국민소득 중 자본에 의한 소득을 제외한 노동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한은이 발표해 온 노동소득분배율은 2010년 58.9%에서 2019년 65.5%로 꾸준히 증가 추세를 이어왔다. 쉽게 말해 기업의 이익은 줄어든 대신 근로자의 임금은 꾸준히 늘어왔다는 의미다.

하지만 문 정부는 한은 통계와 정반대로 계속 하락세인 ‘수정노동소득분배율’을 내세우면서 경제성장의 성과가 국민보다는 기업에 돌아갔다고 주장했다. 이는 최저임금 인상 등 소득주도성장의 동력이 됐다. 수정노동소득분배율은 한은의 노동소득분배율 분모에 고정자본소모를 합친 것으로, 고정자본소모는 공장과 기계설비 등 고정자본(시설)이 마모되는 것을 고려한 설비 보수 등에 필요한 비용 또는 연구개발 투자비로 증가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렇게 분모를 키우면 분자인 근로자 보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지고, 노동소득분배율은 자연히 하락할 수밖에 없다.

관련기사

처음 논란이 된 2020년 8월 국정감사에서 한은은 “(노동소득분배율) 분모를 무엇으로 할 지 학자마다 다르기 때문에 저희는 그 흐름을 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책임론을 피해갔다. 하지만 이후에도 논란이 가라앉지 않자 한은은 지난 6월 기존의 노동소득분배율 명칭을 ‘피용자보수비율’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