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中 CCTV “북·러 군사력 강화 주목”…블라디엔 金 '핵잠 조선소' 방문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국 관영 매체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회담의 핵심이 군사력 강화였다며 보도했다.

국제 뉴스를 다루는 중국중앙방송(CC-TV) 채널4는 13일 밤 “협력 강화, 군사력 발전, 대결 고조(加强合作 發展軍力 對抗升級·가강합작 발전군력 대항승급)”라는 열 두 글자를 북·러 정상회담의 핵심 키워드로 꼽았다.

이날 CC-TV이 방송한 5분 56초 분량의 리포트는 북·러 회담이 최근 김정은 위원장의 군수품 공장과 군부대 시찰이 잦아지는 가운데 이뤄졌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 6~7일 북한 최초의 전술핵공격잠수함 진수식에 참석한 장면과 “해군의 핵무장화는 더는 미룰수도 늦출수도 없는 절박한 시대적 과제”라는 북한 뉴스 보도를 그대로 전했다. 이는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핵잠수함 기술을 전수 받을 지 중국도 예의 주목하고 있다는 의미로 보인다.

14일 중국중앙방송(CC-TV) 국제 채널이 “김정은 러시아 방문의 키워드: 군사력 협력”이라는 제목으로 북·러 양국의 국방 협력에 주목했다. CC-TV 캡처

14일 중국중앙방송(CC-TV) 국제 채널이 “김정은 러시아 방문의 키워드: 군사력 협력”이라는 제목으로 북·러 양국의 국방 협력에 주목했다. CC-TV 캡처

金 방문설 즈베즈다 조선소, 앞서 푸틴 11일 방문 

실제로 김정은 위원장이 블라디보스토크를 들려 핵잠수함 관련 시설을 살펴볼 지 주목된다. 블라디보스토크 현지 사정에 정통한 소식통은 중앙일보에 “김 위원장의 향후 동선의 핵심은 핵잠수함 조선소”라며 “즈베즈다 조선소가 러시아 핵잠수함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위성에 이어 핵잠수함 기술 획득을 요청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현재 조선소 주변은 경비가 강화된 상태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15∼16일 김 위원장이 러시아 내 다른 두 도시를 방문하면서 군사 관련 시설을 둘러볼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즈베즈다 조선소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차로 3시간 거리인 볼쇼이카멘시에 위치해 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동방경제포럼(EEF) 참석 전날인 지난 11일 즈베즈다 조선소를 먼저 방문했다. 선박 진수식 참석이 명분이었지만 김 위원장의 방문에 앞서 사전 시찰 성격이란 말도 나온다.

즈베즈다 조선소는 유조선, LNG 운반선, 쇄빙선 등 특수 운반선을 건조한다. 아울러 조선소 면적의 절반 이상이 군사 시설로 지정돼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된다. 지난 2018년 4월 유리 보리소프 러시아 전 국방차관이 조선소를 방문해 보레이-A급 러시아 전략핵잠수함(SSBN)의 개량 작업과 수리 작업을 할 것이라고 밝힌 적 있다.

현지 사정에 밝은 소식통에 따르면 블라디보스토크 항만에 위치한 러시아 극동 태평양 함대 사령부 등도 군과 경찰의 경비 태세가 강화됐다. 현지에선 김 위원장 일행이 15일 혹은 16일 방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문 여부가 주목되는 블라디보스토크 인근 즈베즈다 조선소에 대형 잠수함이 건조 중이다. 구글어스 캡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문 여부가 주목되는 블라디보스토크 인근 즈베즈다 조선소에 대형 잠수함이 건조 중이다. 구글어스 캡처

中 전문가 “美, 대북 무력봉쇄 우려”

CC-TV는 전날 북한과 러시아 협력을 강조하는 양국 정상의 발언을 특히 주목했다. 푸틴 대통령은 회담에 앞서 “경제 협력 문제, 인도주의 문제, 지역 정세를 이야기해야 한다”며 “토론할 매우 많은 의제가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푸틴 대통령과 회담이 양국 관계를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는 기초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는 발언을 소개하며 북·러 밀착에 주목했다.

중국은 북·러 정상회담이 미국을 자극해 진영 대결이 강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내비쳤다. CC-TV는 2022년 연말 이후 미군의 장거리 폭격기의 한반도 출현이 일상화됐고, 올 4월 한·미 양국의 ‘워싱턴선언’, 8월 한·미·일 정상의 캠프 데이비드 회담이 열렸다고 소개하면서 “미국의 대북 압박이 강화되면서 한반도 정세의 긴장이 가중됐다”고 주장했다. 특히 매슈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의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한다면 유엔 안보리 제재를 위반하는 행위가 된다”는 발언도 소개했다.

중국 전문가는 추후 미국의 대북 강경 조치를 우려했다. 장롄구이(張璉瑰) 중앙당교 국제전략연구소 교수는 홍콩 피닉스TV에 “북한이 대가를 치를 것이라는 미국의 구두 위협 뒤에는 실제 조치가 있을 수 있다”며 “북한에 무장 포위, 무력 봉쇄, 진일보한 엄격한 제재 등을 추진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중국의 다른 관영 매체는 북·러 정상회담에 대해 “이는 북한과 러시아 사이의 일(這是朝俄之間的安排)”이라고 한 전날 마오닝(毛寧) 외교부 대변인 발언 아홉 글자만 반복해 보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