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美냐 中이냐…G20 의장국 인도 "어느 쪽도 배제하지 않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오는 9~10일 인도에서 개최되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와 올해 한국·인도 수교 50주년 행사로 바쁜 아밋 쿠마르(50) 주한 인도 대사를 지난달 25일 만났다. 김현동 기자

오는 9~10일 인도에서 개최되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와 올해 한국·인도 수교 50주년 행사로 바쁜 아밋 쿠마르(50) 주한 인도 대사를 지난달 25일 만났다. 김현동 기자

세계 인구 1위, 올해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의장국,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경제 5위. 인도의 위상을 보여주는 지표들이다. 오는 9~10일 수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아밋 쿠마르(50) 주한인도대사를 지난달 25일 만났다. 올해는 한국·인도가 수교 50주년을 맞는 해이기도 하다.

인도는 '글로벌 사우스'의 일원으로도 존재감이 뚜렷하다. 글로벌 사우스란, 북미와 유럽 등 국제 질서 기득권에 속하지 않는 아시아·아프리카·남아메리카 등 국가들을 두루 일컫는다. 다음은 일문일답 요지.

인도가 올해 G20 의장국을 맡았다.
오늘날 국제사회가 직면한 도전 과제들은 특정한 한 국가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 됐다. 세계적 수준의 협력이 필요한 이유다. 이번 G20 핵심 의제는 지속성과 포용성 및 회복성에 중점을 둔 성장,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기후 변화 등인데, 지정학적으로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에 중요한 이슈들이다. 이들 국가는 식량·비료·연료의 가격 및 공급망 변동, 자연재해 등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 지난 1월 글로벌 사우스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화상 정상회의를 열고 G20 의제에 반영하고자 했다. 
참가국 중 미·중 관계가 초미의 관심사다. 특히 인도는 미국과는 안보협의체 '쿼드(Quad)'로, 중국과는 정치·경제·안보협의체 '상하이협력기구(SCO)'로 손잡았다. 미·중 사이 고민이 깊은 국가들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인도의 외교 정책적 관심사는 국가 개발의 우선순위와 맞닿아있다. 경제 성장, 산업 공급망 확보 등을 위해선 안보 보장이 매우 중요하다. 다른 차원에선 다극화(multi-polar)한 세계의 현실을 반영해 '다자 연계(multi-aligned)'적 외교를 펼친다. 어느 쪽도 배제하지 않고 주요국과 관계를 증진하는 것이다.

지난해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G20 공동성명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대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 성명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 했던 말이 들어가 있다. "오늘날의 시대는 전쟁의 시대가 돼선 안 된다"는 말이다.

그러나 앞서 지난해 2월 유엔(UN) 총회에서 인도의 행보는 결을 달리 했다. 우크라이나 침공을 두고 러시아를 규탄하는 결의안 표결에서 기권표를 던졌기 때문이다. 인도 외교의 복합적인 속내를 들여다볼 수 있는 대목이다.

아밋 쿠마르 대사는 "인도는 러시아에 적대적인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폭력에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고 일관되게 촉구해왔다"며 "UN 등 다자 회의에서 우리의 외교 원칙은 균형 잡힌 입장을 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9월 상하이협력기구(SCO) 회의에서 나렌드라 모디(왼쪽) 인도 총리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말하고 있는 모습. AP=연합뉴스

지난해 9월 상하이협력기구(SCO) 회의에서 나렌드라 모디(왼쪽) 인도 총리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말하고 있는 모습. AP=연합뉴스

인도 정부는 우크라이나 전쟁 뒤 국제 사회가 다자 연계 외교로 나아갈 것이라고 했다. 국익에 기초하는 인도의 외교 정책과 비슷한 흐름을 전망하는 것인가.
모든 나라가 자국의 이익을 추구할 것이다. 인도 역시 민주주의적 제도 등이 이같은 외교적 시각을 형성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더 복잡해지고 다극화한 세계 정세를 다뤄야 한다.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도 역내 발전을 위해 대응하는 동시에, 자국의 이익에 기초한 판단을 한다.
김경진 기자

김경진 기자

한국과 인도의 양자관계에 있어서도 올해는 중요하다. 양국 수교 50주년 행사를 준비하는 중책을 맡은 아밋 쿠마르 대사의 어깨는 무겁다. 그는 "하반기 양국의 경제·무역 활성화를 위한 비즈니스 포럼 개최 등 여러가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2030년까지 한·인도 무역 규모 500억 달러(약 66조원) 달성이라는 목표를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개인적으로는 그 전에 목표를 이룰 것이라고 본다. 다만 교역도 매우 중요하지만, 경제·통상 관계를 인프라·투자·에너지 혁신 등 다양한 분야로 넓힐 필요가 있다. 인도의 인프라 수요가 엄청 늘 것이고, 한국 기업이 건설·인프라·물류 분야에서 인도에 진출할 기회가 많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어떤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나.
인도에선 15개 핵심 분야에 450억 달러 상당의 생산연계장려금(PLI)을 지원하는 등 제조업 생태계 강화를 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생명 과학, 자동차, 첨단 화학전지 등 첨단 제조업 분야에 강한 한국과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국이 추진하는 디지털 플랫폼 정부와 비슷한 프로젝트를 인도가 추진했는데, 미국·유럽과 달리 국가가 금융·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한 것이다.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을 텐데 여유가 생기면 하고 싶은 일은.
한국 곳곳을 다니고 싶다. 사찰을 좋아하는데, 한국의 불교 건축물은 고유한 멋이 있다. 인도와 한국은 불교라는 공통된 유산을 가지고 있다. 경남 양산의 통도사엔 인도 정부가 선물한 불상이 있는데 한 번쯤 꼭 보기를 추천한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