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제 고물가-고금리는 '뉴노멀'?…美 잭슨홀 주목받는 이유

중앙일보

입력

지난해 8월 26일 존 C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레이널 브레이너드 전 Fed 부의장, 제롬 파월 Fed 의장(왼쪽부터)이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열린 잭슨홀 미팅에 참석해 티턴산 국립공원을 걷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해 8월 26일 존 C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레이널 브레이너드 전 Fed 부의장, 제롬 파월 Fed 의장(왼쪽부터)이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열린 잭슨홀 미팅에 참석해 티턴산 국립공원을 걷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매년 여름 전 세계 금융 시장과 경제전문가가 주목하는 ‘잭슨홀 경제정책 심포지엄(잭슨홀 미팅)’이 24~26일(현지시간)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다. 올해 주제는 ‘국제 경제의 구조적 변화(Structural Shifts)’다. 미국 경제를 중심으로 고물가·고금리 상황이 구조적으로 굳어질 거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시장은 잭슨홀에서 터져 나올 논의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

이번 잭슨홀 미팅에선 인플레이션 목표 적정성 논의에 더해 ‘중립금리 논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중립금리는 경기를 부양하거나 침체에 빠뜨리지 않는 이상적 수준의 금리로, 기준금리가 중립금리에 비해 높을수록 긴축 강도가 높아진다. 즉 중립금리가 높아졌다면 긴축 정책에도 충분한 효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 고물가·고금리 속에서도 경제 성장세가 꺾이지 않자, 미국에선 실질중립금리가 미 연방준비제도(Fed) 추정치(0.5%)보다 상승했을 거란 지적이 끊이지 않아 왔다. 20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재정지출과 에너지 전환 투자가 증가하고 인공지능(AI) 등 생산성을 향상하는 기술이 발전되면서 미국 경제를 밀어 올리는 요인들이 늘어났다”며 중립금리 상승 요인을 짚었다.

중립금리 논쟁은 ‘2020년대식 뉴노멀(New Normal)’이라는 주제로 이동하는 발판이 된다. “중립금리 상승에 맞춰 기준금리를 더 올리자니 금융 불안을 높일 수 있어 기준금리를 ‘적당히 높은 수준’ 정도만 유지하게 되면서 고금리·고물가·고성장이 굳어진다”는 이야기다. WSJ은 “인플레이션이 Fed 목표치인 2%까지 떨어지더라도 기준금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기간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일혁 KB증권 연구위원은 “잭슨홀 미팅에서의 중립금리 논의를 통해 2020년대 뉴노멀이 공식화될 것”이라며 “재정 부담이 높은 정부가 인플레이션을 높게 유지해 부채 실질 가치를 낮추면 뉴노멀 환경이 더 오래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미팅 둘째 날인 25일 연설한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파월 의장이 균형 잡힌 어조를 취할 것”이라며 “긴축 사이클 종료를 암시하는 동시에 금리를 더 오래 유지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할 것”이라고 봤다. 만일 파월 의장이 중립금리 상승 평가에 무게를 실을 경우 추가 긴축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다. 다만 그는 지난해 “중립금리, 실질금리가 무엇인지에 대해 우리가 명확하고 정확한 이해를 갖고 있다고 보지 않는다”는 신중한 입장을 밝힌 바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