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팩플] “스스로 학습해 작동”…구글의 새 로봇 AI, ‘영화 속 집사’ 현실 될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프로그래밍이나 별도의 훈련 없어도 스스로 학습해 명령을 이행하는 인공지능(AI) 로봇 모델이 개발됐다. 빨래를 하고 집안 청소를 하고 ‘AI 로봇 집사’가 조만간 현실에 등장할 수 있을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무슨 일이야

구글은 28일(현지시간) 신규 AI 모델인 로보틱스 트랜스포머2(RT-2)를 공개했다. 지난해 공개한 RT-1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이전 모델인 RT-1은 물건을 들어 옮기고 서랍을 여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엔지니어의 프로그래밍 작업이 필요했다. 반면, RT-2는 할 일을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인터넷상 이미지와 텍스트를 바탕으로 스스로 기술을 습득해 실행 방법을 찾아낸다. 구글은 이를 ‘시각-언어-행동’ 모델이라고 소개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RT-2가 거대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을 일종의 인공 두뇌처럼 사용해 이런 능력을 갖출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구글이 공개한 AI 로봇 RT-2. 구글 딥마인드 블로그

구글이 공개한 AI 로봇 RT-2. 구글 딥마인드 블로그

이게 왜 중요해 

챗GPT를 비롯해 생성 AI가 적용된 다양한 서비스가 출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 등 디지털 분야에 편중돼 있다. 하지만 LLM이 로봇에 적용될 경우 자연어 명령만으로 로봇을 조종해 실물 세계의 다양한 영역에서 로봇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NYT에 따르면 엔지니어가 독일과 미국 등의 국기를 펼쳐 놓은 뒤 “폭스바겐 장난감 차를 독일 국기로 이동시키라“고 명령하자 RT-2는 이를 인식하고 장난감 차를 집어들어 독일 국기 위에 올려놓았다. 또한 RT-2는 바나나껍질, 과자 봉지 등 쓰레기를 스스로 구분하고 이를 주워 버릴 수 있다. 구글 AI 개발을 담당하는 딥마인드의 로봇 책임자 빈센트 반호크는 “RT-2는 대량의 웹 데이터에서 지식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쓰레기가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을 갖고 있으며 훈련 없이도 이를 식별할 수 있다”고 말했다.

AI 로봇, 현실로 성큼?

AI 기술의 발전은 로봇 시장에도 변곡점을 만들어내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 AI도 로봇 기업에 직접 투자하며 언어모델을 로봇과 결합하는 실물화 작업에 속도를 내는 중이다. 지난 3월 노르웨이 로봇 회사 ‘1X’는 2350만 달러(약 300억원) 규모의 시리즈A2 투자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오픈 AI 스타트업 펀드가 이를 주도했고 벤처캐피탈 타이거 글로벌, 노르웨이 기업 컨소시엄 등이 참여했다. 오픈 AI는 GPT 같은 LLM을 로봇과 결합해, 물리적으로도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1X는 지난해 미국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했고, 올해 안에 AI 기술을 연동한 로봇 ‘네오(NEO)’를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도 ‘옵티머스’라는 보행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 3월 '2023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테슬라 부스에 휴머노이드 로봇 '테슬라봇'이 전시되어 있다. 김종호 기자

지난 3월 '2023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테슬라 부스에 휴머노이드 로봇 '테슬라봇'이 전시되어 있다. 김종호 기자

앞으로는  

구글은 “아직까지 RT-2 로봇을 판매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앞으로 이 로봇은 창고 작업을 하거나 의료기기를 다룰 때 사용될 수 있고, 세탁물을 정리하고 식기세척기를 돌리는 가사 도우미로도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허위 정보를 사실처럼 말하는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환각) 현상이나 오작동 가능성을 이유로 RT2가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혁렬 성균관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구글 등 빅테크의 새로운 기술적 시도는 인간의 안전을 위한 기술적 대비와 함께 이뤄져야 한다”며 “AI의 환각으로 인한 안전 문제나 오작동으로 인한 기술적 문제가 제대로 대비되지 않는다면 LLM 기반 로봇 응용 모델이 인간의 실생활에 들어올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