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노트북을 열며

일본 원전 오염수 이중 잣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김기환 기자 중앙일보 기자
김기환 경제부 기자

김기환 경제부 기자

바라지 않았다만, 오고야 말았다.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가 임박했다. 경제만 심리가 아니라 환경도, 먹거리도 심리다. 더구나 원전 사고 오염수의 해양 배출은 겪어보지 못한 미지의 영역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과학적으로 따져 문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마음 한구석은 찜찜할 수 있다.

국민 다수가 마찬가지일 것이다. ‘일본이 처리한 오염수는 완전무결할 것이다’라고 철석같이 믿거나 ‘오염수가 안전하다면 마셔라’며 비꼬는 양극단의 중도에 선 경우가 많다. 내가 불안해하지 않을 자유가 있는 만큼, 남이 불안해할 자유가 있다는 것도 받아들여야 한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정화 처리한 오염수. [교도통신=연합뉴스]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정화 처리한 오염수. [교도통신=연합뉴스]

다만 어떤 경우더라도 평가 잣대는 같아야 한다. 예를 들어 중국은 원전 55기를 가동 중이다. 23기는 짓고 있다. 100기를 더 지을 계획이다. 가동 중인, 가동할 원전 대부분이 대한민국 서해 건너편 중국 동부 연안에 몰려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중국 원전에서 한 해 배출하는 삼중수소(방사성 물질) 총량은 1054테라베크렐(T㏃)이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에서 연간 배출할 예정인 삼중수소(22T㏃)의 48배 수준이다.

서해와 접한 중국 해류는 가까운 데다, 직접적이다. 일본 후쿠시마 해류는 태평양을 한 바퀴 돌아서야 한국으로 흘러들어온다. 백원필 한국원자력학회장은 “삼중수소는 방사성 물질 중 가장 덜 위험하다”며 “한국 원전의 삼중수소 연간 배출량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배출량의 10배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물론 한국 원전이 배출하는 방사성 물질에 대해 한마디 하지 않으면서 일본 원전 오염수의 위험성만 우려하는 건 어색하다. 잣대가 이중적이면 본심을 의심받는다.

원전 사고 없는 중국·한국과, 원전 사고 오염수에서 삼중수소뿐 아니라 다른 방사성 물질이 나올지 모르는 일본을 같은 선상에서 비교할 수 있느냐는 주장이 나올 수 있다. 오염수가 꼭 한국으로 흘러들지 않더라도 후쿠시마 해류가 태평양을 돌며 해양 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우려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려하려면 과학으로도 검증할 수 없는 미래의 위험(일본)보다 이미 드러난 현실의 위험(중국·한국)부터 주목하는 게 합리적이지 않을까.

일본이 미덥지 않을 수 있다. 원전 오염수를 꼼꼼하게 처리하라고 요구하는 이유다. 오염수를 방류할 최소 30년 이상, 우리는 끊임없이 다그쳐야 한다. 다만 음모론보다 과학에 기대자. 이성에 호소한 결말이 “오염수는 당신이 마셔라”는 반응이라면 딱 그 수준에서 답할 수밖에. “당신은 안전하다는 것만 확인하면, 무엇이든 먹고 보는 사람입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