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자동차·반도체 수출 덕에 2분기 성장률 0.6%…"경기 부진 완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국은행은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분기 대비)이 0.6%로 집계됐다고 25일 발표했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한국은행 통합별관에서 신승철 경제통계국장(왼쪽 두번째)이 관련 내용을 발표하는 모습. 연합뉴스

한국은행은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분기 대비)이 0.6%로 집계됐다고 25일 발표했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한국은행 통합별관에서 신승철 경제통계국장(왼쪽 두번째)이 관련 내용을 발표하는 모습. 연합뉴스

자동차와 반도체 생산과 수출이 늘면서 한국 경제가 두 분기 연속 성장했다. 25일 한국은행은 올해 2분기(4~6월)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 분기 대비)이 0.6%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시장이 예상한 수치(0.5~0.6%)와 비슷했다. 상반기(1~6월) 성장률은 전년 대비 0.9%로 한국은행 전망치(0.8%)를 웃돌았다.

2분기 수출과 민간소비, 정부소비, 설비투자 등이 모두 마이너스(-)로 고꾸라졌지만, 순수출이 개선돼 성장을 견인했다. 수출 감소 폭(-1.8%)에 비해 수입이 더 크게(-4.2%) 줄면서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반도체와 자동차 수출이 늘었고, 원유와 천연가스는 재고 영향으로 수입이 줄었다. 수입 감소 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초기인 2020년 2분기(-5.8%) 이후 가장 크다.

한은은 “자동차 산업 호조가 지속하고 반도체 생산이 증가로 전환되면서 제조업 성장이 GDP 성장을 주도했다”고 설명했다. 순수출의 GDP 성장기여도는 1.3%포인트로 다섯 분기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1분기 성장을 이끌었던 민간 소비는 2분기 들어 0.1% 감소하며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의류 등 준내구재와 서비스(음식·숙박 등) 소비가 줄었기 때문이다. 올해 1월부터 코로나 19 방역지침이 완화되면서 1분기에 민간 소비가 많이 늘어났던 기저효과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은은 5월 연휴마다 비가 내리는 등 기상요건이 악화했던 것도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정부 소비도 1.9% 줄어 1997년 1분기(-2.3%) 이후 약 26년 만에 최대 감소 폭을 나타냈다. 한은은 건강보험급여 등이 줄어든 일시적 영향으로 봤다. 코로나 19 확진자나 독감 환자 수가 줄어들면서 건보 급여나 방역 관련 지출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투자도 전반적으로 저조했다. 건설투자는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0.3% 감소했고, 설비투자는 기계류가 늘었지만 운송장비가 줄면서 0.2% 감소했다.

수출과 수입이 모두 다 줄어든 상황에서 순수출이 개선돼 성장을 이끈 것을 두고 ‘불황형 성장’이란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한은은 부진했던 경제가 회복하는 흐름으로 해석했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기저효과 영향으로 내수가 일시 조정된 부분이 있지만 자동차나 반도체 수출이 늘어난 긍정적 효과가 있어 불황으로만 볼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또 “최근 소비자심리지수가 개선된 점 등을 고려하면 민간소비는 향후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여경 NH투자증권 연구원도 “가계 초과저축과 타이트한 고용시장을 토대로 민간소비가 내수의 급격한 둔화를 방어할 것”이라고 짚었다. 다만 소비가 빠른 속도로 회복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최근 물가상승률이 둔화되긴 했지만 석유류 가격 하락 효과를 제외하면 상승 압력이 여전한 데다 외식과 서비스 물가도 높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

지난 5월 한은은 전년 동기 대비 상반기 0.8%, 하반기 1.8% 성장해 연간으로는 1.4%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까지 상반기 성장률이 0.9%로 전망치를 웃돌긴 했지만, 하반기 1.7% 성장해야 달성 가능한 수치다. 지난 13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상반기에는 수출 부진 완화로 성장세가 예상을 소폭 상회하겠지만 하반기는 중국의 더딘 회복세 등으로 성장 경로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언급한 바 있다. 다만 한은은 미국 경제 연착륙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까지 고려해 연간 성장률 전망치는 5월과 같이 1.4%로 유지하고 있다.

한편 2분기 GDP 성장에도 불구하고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 분기 수준(0.0%)을 유지했다. 수입품 가격이 수출품 가격보다 더 올라 교역조건이 악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