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물가상승률 유럽 7%, 미 4%인데 한국 2%대로 빨리 잡힌 까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5면

2.7%.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다. 지난해 7월 전년 동월 대비 물가상승률이 6.3%까지 오른 이후 서서히 둔화했고, 21개월 만에 2%대로 진입했다. 고물가 공포에선 일단 벗어났다는 평가다. 선진국 중심으로 아직 연쇄적인 물가 상승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이례적인 일이라는 평가다.

소비자물가상승률, 21개월 만에 2%대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통계청]

소비자물가상승률, 21개월 만에 2%대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통계청]

9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3.3%)은 OECD 38개 회원국 중 6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한국보다 물가가 덜 오른 나라는 스위스(2.2%), 그리스(2.8%), 덴마크(2.9%), 스페인(3.2%), 일본(3.2%)뿐이다. 한국의 6월 물가상승률(2.7%)로 비교한다면 2번째로 낮은 수준까지 기록하게 된다.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미국은 최근 들어 물가상승률이 둔화했다지만, 5월 기준 4%를 기록했다. 같은 달 유럽연합은 7.1%, 영국은 7.9%였다. 이 때문에 미국은 기준금리를 5%~5.25%까지 올리고도 연내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고, 영국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밟으면서 5%대에 이르렀다. 반면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하반기엔 (물가상승률이) 평균 2% 중반이나 후반대에 머물 것”이라고 말했다.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한국 정부가 간접적으로 민간 물가에 개입할 수 있는 구조가 다른 나라와의 차이를 만들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동헌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유럽이나 미국 등과 비교해 한국은 정부가 물가를 관리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물가의 세부적인 지수를 보면서 많이 오른 게 있으면 기업에 조정해달라고 하는 게 대표적”이라며 “나쁘게 보면 간섭이라고 할 수 있지만, 긍정적으로 보면 효율적인 관리”라고 설명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역설적이게도 애초부터 한국의 에너지 수입 가격이 비싼 구조다 보니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물가 충격이 상대적으로 덜 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의 공공요금 통제도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생산비용을 공공요금에 곧바로 반영하는 미국·유럽 등과는 달리 한국은 공공요금을 사실상 정부가 결정하는 구조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