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물가 잡힌다더니…잼 35%↑ 어묵 19%↑ 먹거리는 딴세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농산물·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이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21일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뉴시스]

농산물·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이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21일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근원물가’ 잡기 총력전에 나섰다. 소비자 물가가 하락세지만, 먹거리 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하고 있어서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21일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국내 물가동향과 관련해 “원료(가격)는 많이 내렸는데 객관적으로 제품값이 높은 것에 대해선 경쟁을 촉진하도록 공정거래위원회가 담합 가능성도 들여다보고 유통구조도 면밀히 살펴서 구조적 안정을 취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고 밝혔다. 추경호 경제부총리가 18일 “기업이 밀 가격을 내린 부분에 맞춰 적정하게 (라면값을) 내렸으면 좋겠다”며 라면을 예시로 꺼내 든 물가 안정조치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풀이된다.

근원물가는 가격 변동성이 큰 농산물·석유류 물가를 제외해 소비자 물가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잘 나타낸다. 공공요금이나 원자재 가격 인상 등 요인이 시차를 두고 반영된다.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2%대를 눈앞에 둔 소비자 물가 상승률과 달리 근원물가는 하락세가 미지근하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소비자 물가는 1년 전보다 3.3% 올랐다. 올해 1월(5.2%)부터 꾸준히 내려 지난달까지 1.9%포인트 내려갔다. 반면 지난달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1년 전보다 4.3% 올랐다. 올해 1월(5.0%)과 비교해 0.7%포인트 내리는 데 그쳤다. 3월부터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앞질렀다.

특히 먹거리 물가 상승세가 여전하다. 구체적으로 지난달 라면을 포함한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이 7.3%를 기록했다. 전체 물가 상승률(3.3%)의 두 배 이상이다. 특히 라면 물가는 지난달(13.1%) 14년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잼(35.5%)·어묵(19.7%)·파스타면(19.6%)·혼합조미료(18.0%)·당면(16.9%)·소시지(11.9%)·수산물통조림(9.5%)도 고공행진 중이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가공식품 물가는 한 번 오르면 원자잿값이 내려도 쉽게 떨어지지 않고, 가격이 오른다고 쉽게 수요를 줄일 수도 없다”며 “외식 등 서비스 물가 전반으로 전염성도 높다”고 설명했다.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외식물가도 지난달 6.9% 올랐다. 4월까지는 12개월 연속 7%를 웃돌았다. 2020년 12월 이후 30개월째 증가세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물가는 5년 전인 2018년에 비해 28.4% 올랐다. 특히 김밥·짜장면 같은 서민 먹거리 물가가 40% 넘게 올랐다. 1만원을 주고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는 메뉴가 김밥·짜장면·칼국수·김치찌개 백반 네 가지뿐이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유가·곡물 가격폭등뿐 아니라 전기·가스 요금과 임대료·물류비·인건비 등 비용 상승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 ‘외식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외식업 영업 비용에서 식재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41%였다. 이어 인건비(34%), 임차료(10%), 수수료(8%), 세금(7%) 순이었다.

정부는 식품·가공업계의 원재료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전방위 노력을 펼치고 있다. 설탕·감자 등 주요 식품 원재료(36개)에 대해 올 연말까지 할당 관세(일정 수량 수입품에 대해 한시적으로 관세율 인하)를 적용한다. 또 분기별 식품 업계 간담회를 통해 애로사항을 듣고, 물가 안정 대책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강경식 전 경제부총리는 “인위적인 물가 때려잡기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며 “정부의 물가 대책은 물가 상승이 관련 기업의 편법 가격 인상이나 담합에서 비롯했는지 점검하는 수준에 그쳐야 한다”고 조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