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대, 성균관대 등 반도체특성화대학 8곳 선정…540억원 투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해 7월 25일 반도체 인재양성 현장 방문에 나선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대전 충남대학교 반도체실험실을 찾아 연구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지난해 7월 25일 반도체 인재양성 현장 방문에 나선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대전 충남대학교 반도체실험실을 찾아 연구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앞으로 예상되는 반도체 산업계의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반도체 특성화대학’을 선정해 반도체 인재 육성에 나선다. 올해에만 54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매년 400명 이상의 학사급 반도체 우수 인재를 배출할 계획이다.

13일 교육부는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대상으로 8개 대학 및 연합체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에선 서울대와 성균관대, 명지대-호서대(연합), 비수도권에선 경북대와 고려대(세종), 부산대, 전북대-전남대(연합), 충북대-충남대-한국기술교육대(연합)가 선정됐다.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은 정부가 2031년까지 반도체 인재 15만 명을 양성하겠다는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에 따라 올해 신설됐다. 학사급 반도체 인력을 공급하고 석·박사급 인재양성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총 20개 대학을 선발해 관련 예산을 지원한다. 당초 교육부는 개별 대학을 선발할 계획이었지만, 대학 측의 요청에 따라 대학 연합체도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올해 ‘동반성장형’으로 선정된 3개 대학 연합은 공동교육과정 등을 운영하게 된다.

정부에 따르면 앞으로 반도체 산업 규모가 확장하면서 10년 뒤 필요한 반도체 인력은 30만 4000명까지 늘어날 전망이지만, 현재 인력은 17만 7000명에 불과하다. 연간 배출되는 반도체 관련 산업 취업자는 5000명 수준이다. 이마저도 대부분 직업계고와 전문학사 등 실무 인력 중심이라 현행 공급 체계가 유지되면 반도체 산업계의 인력난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이에 따라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도 인재 양성에 초점이 맞춰졌다. 선정된 8개의 대학과 연합체는 반도체 융합전공과 특성화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매년 최소 50명의 학사급 반도체 인력을 배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에만 총 540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사업에 참여하는 각 대학은 ‘반도체 인재양성 지원 협업센터’을 통해서 인력 수요와 산업동향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4년간의 사업 기간 중 2년 차에 중간평가를 시행해 추진계획 이행에 따라 지원 예산을 조정하거나 탈락 여부도 결정할 방침이다. 추후 예산 확보 여부에 따라 신규 대학 선정도 염두에 두고 있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그동안 정부가 추진해 온 다양한 규제혁신 노력이 이번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을 통해 현장의 변화로 나타날 수 있도록 대학에서는 산업계와 긴밀히 소통해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