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코로나 빚 상환유예의 착시…가계대출 연체율 폭풍전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대출 연체율이 무섭게 치솟고 있다. 점점 상승 폭을 키우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 빌린 돈의 연체율 상승이 하반기로 갈수록 가팔라질 수 있어, 금융사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25일 금융감독원은 2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이 1월 말과 비교해 0.05%포인트 상승한 0.36%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2월 말 연체율(0.25%)과 비교하면 0.11%포인트 급등했다. 2020년 8월(0.38%) 이후 가장 높은 연체율이다. 다만 2월 신규 대출의 연체율은 0.09%로 전달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금감원은 전체 은행 계정 원화 대출금 및 신탁 대출금에서 한 달 이상 원리금을 갚지 못한 비율로 연체율을 집계했다.

특히 2월 말 원화 대출 중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 대비 0.04%포인트 상승한 0.32%를 기록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하기 시작한 2020년 3월부터 꾸준히 하향 추세를 보여왔다. 하지만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9월 말(0.19%)부터 다시 상승세로 전환했다. 특히 올해 2월에는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하기 전인 2020년 2월 말 연체율(0.3%)까지 처음으로 넘어섰다.

가계대출 연체율 상승을 주도하는 것은 신용대출이다. 2월 말 기준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의 연체율(0.64%)은 전월 대비 0.09%포인트 급증했다. 지난해 2월 말(0.37%)과 비교해도 0.27%포인트 폭등했고,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20년 2월 말 연체율(0.43%)은 이미 넘어 섰다. 변동금리 비중이 큰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금리 상승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2월 말 기업대출 연체율(0.39%)도 1월 말과 비교해 0.05%포인트 상승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20년 2월 말(0.54%)보다는 아직 낮다. 하지만 기업대출 중 중소기업 대출은 2월 말 연체율(0.47%)이 전월 대비 0.08%포인트 올랐다. 같은 기간 대기업 대출 연체율(0.09%)이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한 것과는 다른 양상이었다. 고금리 기간이 길어지면서, 자금력이 달리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오르고 있다고 풀이할 수 있다.

문제는 앞으로다. 우선 코로나19 시기 받았던 신규 대출의 연체율이 올해 말부터 본격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자영업자를 지원하기 위해 대출 상환을 유예하고 만기를 연장 등 적극적인 금융 지원책을 펼쳤다. 하지만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처가 올해 9월이면 끝난다.

또 연체율이 통상 신규 대출 후 1~2년의 시차를 두고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 점도 부담스럽다. 과거 사례대로면 코로나19 확산 시기 빌렸던 돈의 연체율은 올해부터 급증할 수 있다. 여기에 가라앉고 있는 국내 실물 경기도 가계의 대출 상환 여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에 금융당국과 주요 금융그룹은 충당금을 과거보다 더 쌓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은행이 아닌 제2금융권이나 카드사까지 범위를 확대하면 연체율 상승 문제는 더 심각할 것”이라면서 “특히 자산 가격 하락에 무리하게 빚을 져 투자에 나선 사람의 연체 문제가 불거질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제2의 전세 사기 같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