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독초 중독' 85% 봄에 발생...곰취·동의나물 이렇게 구별하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동의나물과 유사 식용식물 구별법. 국립수목원

동의나물과 유사 식용식물 구별법. 국립수목원

 산나물과 닮은 독초를 먹고 복통 등을 호소하는 사례가 빈발하자 당국이 독초 채취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산림청 국립수목원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4일 독초를 산나물로 오인해 개인이 임의로 채취해 섭취한 후 장염 증상 등을 호소하는 피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들 기관에 따르면 2020년부터 현재까지 3년여 동안 독초를 섭취하고 복통 등 증상으로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총 26건이 접수됐다. 봄철인 3~6월에 접수된 게 전체의 85%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월별로는 4월에 10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이란 병원, 소방서, 소비자 상담 등으로부터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해 조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한국소비자원의 감시 시스템이다.

산나물과 독초 구별 어려워…3년여간 독초 섭취 26건  

독초 섭취에 의한 중독사례가 봄철에 주로 발생하는 이유는 꽃이 피기 전에 잎 또는 뿌리만으로 산나물과 독초를 구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대표적인 독초는 동의나물, 여로, 박새 등이다.

동의나물. 사진 국립수목원

동의나물. 사진 국립수목원

곰취. 사진 국립수목원

곰취. 사진 국립수목원

독초인 ‘동의나물’은 식용 나물인 ‘곰취’로 오인·혼동할 수 있다. 동의나물은 향이 없고, 잎 가장자리는 둔한 톱니가 있다. 반면, ‘곰취’는 향이 좋으면서 잎이 부드럽고 광택이 없으며, 날카로운 톱니를 지니고 있다.

여로 어린 풀. 사진 국립수목원

여로 어린 풀. 사진 국립수목원

박새. 사진 국립수목원

박새. 사진 국립수목원

독초인 ‘여로’는 산나물로 먹는 ‘원추리’와 혼동하기 쉽다. 여로는 잎에 털과 깊은 주름이 있다. 반면 원추리는 잎에 털과 주름이 없다. 독초인 ‘박새’는 주로 명이나물로 불리는 ‘산마늘’과 구분하기 어렵다. 박새는 여러 장의 잎이 촘촘히 어긋나 있으며 주름이 뚜렷하다. 반면 산마늘은 마늘(부추) 향이 짙게 나고 줄기 하나에 2~3장의 잎이 달려 구별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미국자리공’의 뿌리를 인삼·도라지·더덕 등의 뿌리와 오인해 섭취하거나, ‘산괴불주머니’를 ‘쑥’으로 혼동해 먹는 사례가 있다.

산마늘 어린 풀. 사진 국립수목원

산마늘 어린 풀. 사진 국립수목원

독초 섭취 시, 먹다 남은 독초 들고 병원 가야    

만약 독초를 산나물로 오인해 섭취한 후 복통, 구토 등의 이상증세가 나타난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야 하며, 진료에 도움을 위해 남은 독초가 있다면 가져가는 것이 좋다. 독성 식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산림청 국립수목원 누리집(http://kna.forest.go.kr) 연구간행물에서 봄, 가을 독성 식물에 대한 가이드북으로 확인할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