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코로나 치료 후에도 머리가 멍…"후각저하, 브레인포그 영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명지병원. 뉴스1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명지병원. 뉴스1

대표적인 코로나19 장기후유증(롱코비드) 중 하나인 ‘후각·미각 저하’가 브레인포그(Brain fog)나 기억력 저하 등 신경학적 후유 증상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브레인포그는 머릿속에 안개가 낀 것처럼 멍한 느낌이 이어지는 증상을 말한다.

23일 명지병원은 전날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라는 주제로 열린 코로나19 후유증 심포지엄에서 정영희 신경과 교수가 코로나19 후유증 클리닉을 찾은 환자를 분석한 결과 이런 내용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오미크론 대유행 정점이었던 지난해 3~4월 클리닉에 내원한 환자 1164명 중 신경학적 증상을 호소한 440명(여성 292명·남성 14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브레인포그 환자, 후각·미각 저하 증상 2.54배↑

가장 많이 발생한 증상은 브레인포그로 전체의 38.6%(170명)를 차지했다. 정 교수는 여기서 브레인포그군으로 분류된 170명을 증상이 없는 군(270명)과 비교했고, 그 결과 브레인포그군에서 후각·미각 저하 증상이 2.54배 더 많이 나타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정 교수는 “정확한 상관관계가 밝혀지진 않았다”면서도 “통상 후각 인지 경로는 기억력의 센터라고 불리는 해마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런 해부학적 특징을 볼 때 후각이 저하되면서 후각 정보가 줄어든 것과 환자들이 브레인포그나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는 것 사이에 연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코로나19 감염 후 면역반응이 활성화되면서 신경염증을 유발해 후유증을 발생시켰을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브레인포그를 제외하고 연구 집단에서 발견된 주요 신경학적 증상은 두통(31.1%)과 어지러움(29.1%), 기억력 저하(23.6%) 등이다. 정 교수는 “두통과 어지럼증, 기억 장애는 피로와 수면 장애 증상과 복합적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합병증 명확한 치료법 없어…연구 필요”

이날 심포지엄에선 엔데믹과 무관하게 롱코비드 연구와 치료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조동호 명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클리닉을 찾은 환자 대부분이 기침과 가래, 호흡 곤란과 같은 호흡기 증상을 보였다. 심한 경우 염증 반응으로 인한 폐 손상과 폐 섬유화, 혈전에 의한 손상 등 합병증이 지속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코로나 후유증의 발생 빈도 메타 분석을 결과 입원 환자군과 여성, 아시아 지역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며 “합병증 호전을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진행 중이나 아직 명확한 치료법은 알려지지 않았다. 엔데믹이 종식 선언 등과는 무관하게 후유증 치료 시스템이 유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