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진정 존엄한 것은 일이 아니라 당신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825호 21면

번아웃의 종말

번아웃의 종말

번아웃의 종말
조나단 말레식 지음
송섬별 옮김
메디치미디어

저자는 미국 대학의 신학교수였다. 괜찮은 보수에 종신고용까지 보장된 일자리였지만, 그만뒀다. 번아웃(burnout), 말 그대로 다 타버린 듯 심신이 지친 상태가 되버린 탓이다. 저자는 번아웃이 발생하는 상황을 일에 대한 이상과 현실이라는 두 죽마에 올라타 균형을 잡는 것에 비유한다. 각 죽마의 높이도 작용하지만 무엇보다 둘의 괴리에서 번아웃이 시작한다는 얘기다. 일에 대한 의욕과 기대가 충만한 젊은 세대가 번아웃을 많이 겪는 이유와도 통한다.

이 책은 저자가 자신의 구체적 경험과 함께 여러 연구를 섭렵한 결과물이다. 번아웃의 대표적 양상인 소진·냉소·무력감이 사람마다 다르게 결합해 나타난다는 것을 비롯해 아직까지 그 의미가 명확하게 통용되지 않는 번아웃에 대해 전반적 이해를 돕는다. 저자는 번아웃도 자폐처럼 스펙트럼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일을 둘러싼 환경으로도 시야를 넓힌다. 책에 따르면 크리스티나 마슬라흐와 허버트 프뤼덴버그, 미국의 두 심리학자가 번아웃에 대한 선구적 연구결과를 제각각 내놓은 1970년대는 미국에서 생산성 향상이 더이상 실질 임금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게 된 시기이기도 했다. 저자는 고용을 부채로 보는 관점이 대두하며 기간제 고용 등 이른바 ‘균열 일터’가 늘어난 것, 제조업 대신 서비스업 일자리가 늘면서 일의 정서적·감정적 측면이 커진 것 등 지난 50년간 노동환경과 경영전략의 변화까지 짚는다.

무엇보다 저자는 일에 대한 오랜 믿음, 즉 일이 우리를 존엄하게 만들어주고, 인격을 함양하고, 우리에게 삶의 목적을 부여한다는 믿음에 반기를 든다. 이는 사실이 아닐뿐더러 결국 소진될 때까지 일하다 번아웃을 부르는 배경이 된다는 시각이다. 저자는 19세기 말 교황 레오 8세의 칙령 등도 소개하며 인간이 일을 통해, 특히 유급노동을 통해 존엄성을 증명해야 하는 존재가 아니라 그 자체가 존엄성을 지닌 존재라는 점을 강조한다. 번아웃을 끝장낼 수는 없어도, 그 고통을 누그러뜨릴 실마리를 헤아리게 하는 책이다. 원제 The End of Burnou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