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화성-17형’ 6㎞ 옮겨 쏜 북한…발사 사전징후 탐지 어려워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북한이 ‘화성-17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실은 이동식 미사일발사대(TEL)의 기동성을 강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미사일 시설 가까이에서 발사했던 지난 3월과 달리 지난 18일에는 같은 시설에서 약 6㎞ 떨어진 곳에서 쏜 것으로 포착됐기 때문이다.

북한 평양 순안공항 일대를 촬영한 상업용 위성사진. ① 신리 미사일 지원시설. ② 지난 3월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장소. ③ 이달 ICBM이 발사된 곳. [사진 VOA 화면]

북한 평양 순안공항 일대를 촬영한 상업용 위성사진. ① 신리 미사일 지원시설. ② 지난 3월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장소. ③ 이달 ICBM이 발사된 곳. [사진 VOA 화면]

23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이번에 화성-17형을 발사한 장소는 평양 순안공항 내 민간 활주로와 군사용 활주로를 잇는 도로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이 북한이 공개한 영상·사진과 상업용 위성사진을 비교 분석한 결과다.

이는 북한이 지난 3월 24일 화성-17형을 쐈다며 공개한 사진 속 장소와 달랐다. 당시엔 순안공항 남쪽의 신리 미사일 지원시설에서 1㎞ 남짓 떨어진 곳이었다. 그런데 이번엔 민간 공항부지를 가로질러 당시 발사장소보다 4㎞ 정도 더 이동한 곳에서 미사일 발사가 포착됐다. 또 지난 3일 군 당국이 화성-17형으로 추정했던 ICBM 발사 장소도 이번 발사 장소에서 멀지 않은 곳으로 나타났다.

서방 전문가들 사이에서 ‘괴물 미사일’로 불릴 만큼 덩치가 크고 무거운 화성-17형이 상당한 거리까지 이동한 셈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북한이 화성-17형 전용인 11축 22륜짜리 거대한 TEL의 신뢰성을 어느 정도 확보한 것으로 평가했다. 또 TEL의 이동거리가 늘어나면서 한·미의 미사일 발사 사전징후 탐지를 교란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권용수 전 국방대 교수는 “화성-17형의 이동거리가 늘어나면 공항 내 여러 곳에 예비 진지(발사장소)를 두고 여러 대의 위장용 ‘목업’(mock-up·실물 모형) 미사일들을 동시에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며 “미사일 시설에서 나오는 여러 미사일 가운데 어떤 미사일이 진짜 미사일인지 식별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한편 최근 외교가에서는 “최근 북핵 문제 관련 중국의 스탠스가 중국의 오랜 대북 원칙인 ‘쌍중단’(雙中斷·북한 핵·미사일 개발과 한미 연합훈련 동시 중단)‘보다도 오히려 더 후퇴한 모양새”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장쥔(張軍) 주유엔 중국대사는 지난 21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에 대응해 개최된 안보리 공개회의에서 “미국은 북한의 정당한 우려에 긍정적으로 대답해야 한다”며 “북한을 향한 군사훈련을 중지하고 대북 제재를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4분간 이어진 그의 연설에서 북한 도발에 대해 우려를 표하거나 비핵화를 촉구하는 대목은 찾아볼 수 없었다. 과거 표면적으로라도 북·미의 책임을 동등하게 제기하던 중국이 최근 들어선 일방적인 ’북한 편들기‘를 노골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중국의 외교·안보 전문가인 스인훙(時殷弘) 인민대 교수도 지난 18일 한국유라시아학회 주최 국제 학술대회에서 “지난해부터 중국의 한반도 정책이 크게 변화해 중국 고위 지도층과 중국 정부의 모든 한반도 관련 성명을 보면 주요 의제로서의 비핵화 부분이 삭제됐거나 사라졌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준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교수는 “최근 중국은 북한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현 한반도의 긴장 상태를 적당히 유지해 나가는 것이 자국에 전략적으로 유리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